짧고 굵은 고전 읽기 - "고전 읽어 주는 남자" 명로진의
명로진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이 이렇게 쉬울 줄이야!

 

일단 고전은 어렵다. 읽어도 어렵고, 설명을 들어도 어렵기는 매한가지다.

그렇게 어렵기만 한 고전을 쉽게 접근할 수 없을까? 어렵지 않게 대할 수는 없을까?

 

일단 일차 저작물은 여기 방법에서 제외하자. 그러니 부득이 다른 사람이 고전에 대하여 쓰거나 말한, 글과 말을 통해서 접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런 책들도 어렵기는 마찬가지. 엎어치나 매치나 한가지라는 말이 공연히 있는 게 아니다.

 

그런데 이 책은 조금 다르다. 어렵게 여겨지던 고전들이 이 책에서는 그렇지 않게 읽혀진다.

 

이 책은?

 

이 책은 저자인 명로진이 들어가며에서 밝힌 바와 같이, ‘고전을 드라마처럼 읽으면 재미있다는 신조로 동서양의 여러 고전을 풀어낸 책이다. 그래서 일단 읽는 재미가 있다. 그런 재미가 있으니 책을 한번 잡으면 '이런 식으로 고전을 읽어도 되는 거야' 라고 의아해 할 정도로, 끝까지 읽게 되는 책이다. 또한 그렇게 읽어가는 동안 고전이 의미하는 바를 깨닫게 되니, 일석이조라 할 수 있다.

 

이 책의 내용은?

 

저자는 고전에 조금이라도 접근하기 쉽도록 여러 장치를 고안하고 있는데, 이 책에서 고전을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한다.

 

첫째, 알고는 있지만 제대로 읽어 본 적 없는 고전

두번째, 지성과 교양에 목마른 당신에게 꼭 필요한 고전

세번째, 드라마적 재미와 감동을 느낄 수 있는 고전

 

첫째 항목으로는 논어, 맹자, 사기열전, 역사가 있고

둘째 항목에는 향연, 한비자, 시경, 소크라테스의 변명이 해당된다.

셋째 항목으로는 장자, 변신이야기, 일리아스, 오디세이야가 있다.

 

이렇게 구분된 고전들은 각각의 항목에 따라 '어쩌면 그리 분류를 잘 해 놓았는지' 하는 감탄이 나올 정도로, 잘 설명되고 있다.

 

논어 팔일편에 나오는 공자 말씀을 살펴보자.

 

선생께서 태묘에 들어가셨을 때, 모든 일을 물으셨다.

어떤 사람이 말했다.

누가 저 추 땅의 젊은이보고 예를 안다고 했는가? 태묘에 들어가 모든 일을 묻고 있는데.”

선생께서는 이 말을 들으시고 말씀하셨다.

그것이 예다.” (39-40)

 

그것이 예다에서 그것이 무엇인지?

지금껏 읽어왔던 <논어>에서는 일차 저작물이든 이차 저작물이든- '그것'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지 않았다. 책을 쓴 사람 또는 해석한 사람 들은 그것이 무엇인지 알고 있으므로 구태여 그것이 무엇이라고 설명할 필요를 느끼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읽는 사람으로서는 구태여 저자가 그것까지 말하지 않는데, 그것이 무엇인지를 알 필요성 마치 독자인 자기도 아는 것처럼 생각되어 을 느끼지 못하고 넘어가버린 것이다.

 

그러니 그렇게 읽은 고전을 나중에 다시 새겨보려면, '그것'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손에 잡히지 않으므로, 고전의 이해는 그저 그 자리를 맴돌 뿐, 한 발자국도 더 나가지를 못하는 것이다. 그러니 고전이 어려울 수 밖에!

 

그러나 이 책에서는 그것을 대화체로 속시원하게 풀어낸다.

그렇지 않은가? 우리들이 나누는 실제 대화에서는 그것이 예다라는 말로 끝을 내지 않는다. 그것이 무엇인지를 부가하여 설명을 하고야 말을 끝낸다. 

그래서 우리가 항용 나누는 대화체로 공자말씀을 풀어낸 저자는 '그것'을 이렇게 해석한다.

그래, 그게 바로 예다. 묻는게 예야!”(41)

 

그 말 한마디 덧붙인게 논어를 쉽게 만들었다.

 

이 책의 가치

 

그렇게 고전들을 쉽게 풀어낸 것, 그것이 이 책의 가치라 할 수 있다.

고전들을 그런 식으로 쉽게 다가가게 만들어 주니. 이제 고전이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가깝고 쉽게 여겨지는 것이다.

 

저자는 그런 식으로 동서양의 고전을 풀어낸다.

혹시 고전이 어렵다고 느껴지는 독자들이 있다면 만 가지 책을 제쳐 두고 이 책으로 다시 시작해보는 것이 어떨까?

그렇게 이 책을 읽다보면, 이제 고전이 '이렇게 재미있었던 거야? 고전이 이렇게 쉬웠던거야' 하는 한탄을 그제서야 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러니 더 늦기 전에 어렵게 생각드는 고전을 다시 이 책으로 시작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