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블 이야기
헬렌 맥도널드 지음, 공경희 옮김 / 판미동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슬픔을 날려버리고 걸어나오다

 

이 책은 매에 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매를 길들이는 내용으로 책 한권이 되다니? 이게 동물기 같은 성격인가 싶기도 하지만, 읽다보니 매는 물론이고 인간사, 세상사를 다 아우르는 마법같은 책이다.

 

이 책은 저자 헬렌 맥도날드의 개인적인 회고록이다. 정말 회고록일 수밖에 없는 게 매를 다루는 데 있어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전해 들어서는 도저히 나올 수 없는 기록들이 많아서, 본인 밖에 모르는 이야기들이 많아서 이것은 자기 이야기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

 

책 제목에 대하여

 

책 제목 <메이블 이야기>는 이 책의 또다른 주인공인 참매의 이름을 딴 것이다. 주인공 헬렌은 주인공이자 저자이기도 하다 참매를 한 마리 기르는데 그 매의 이름이 메이블이다.

그러니 책 제목만 가지고는 이 책의 내용이 무엇인지 바로 감이 오지 않는다.

 

원제는 <H is for Hawk>인데, 나는 맨처음 '매를 위한 H'로 해석하고는 H가 누군인지 궁금해 했었다. 그러다가 저자 이름이 Helen 인 것을 알고, , '매를 위한 H, 즉 헬렌'이라 지레짐작하고 저자가 매에게 바친 시간, 정성 등 그런 것을 의미하는 줄로 생각했었다.

 

그런데 역자는 설명을 해 놓기를, ‘H is for Hawk’라는 말의 의미는 ‘Hawk 할 때의 H’라는 것이다. (9) 그렇다면 H는 저자인 헬렌이 아니니 매를 전면에 내세운 제목 <메이블 이야기>가 맞을 수도 있겠다.

 

저자는 매를 위하고, 매는 저자를 위하고

 

그렇다면 이 책에서 저자와 매인 메이블과는 어떤 관계가 있길래, 매의 이름을 전면에 내세웠을까?

 

저자의 아버지는 어느 날 심장마비로 사망한다. 그러자, 저자는 큰 충격을 받는다.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을 상실했을 때 받는 큰 충격이었다. 그 충격에서 벗어나기 위해 그녀는 어려서부터 기르고 싶었던 참매를 키워보기로 한다. 그래서 결국은 참매를 한 마리 사서 훈련시키게 되는데, 그때부터 참매와 저자와의 관계가 시작된다.

 

이 책은 그래서 메이블이라 이름붙인 참매를 훈련시키면서 저자가 슬픔에서 서서히 벗어나는 그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저자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경험하는 상실의 슬픔을 견디고 이겨나가는 과정을 잔잔한 문체로 담아놓았다.

 

참고로 메이블이란 말의 의미는 사랑스럽거나 귀엽다는 뜻이다.(148)

 

슬픔을 날려버리고 걸어나오다

 

그런 과정을 거쳐 저자는 드디어 슬픔에서 빠져 나온다.

그것을 저자는 이런 말로 표현한다.

 

<존 뮤어(산림 보호를 처음으로 주장한 환경운동가, 작가)는 이렇게 썼다. “푸르고 고요한 숲 속에서 자연은 모든 고통을 치유하고 달래 준다. 땅에는 땅이 치유 못 하는 슬픔이 없다.”

이제 나는 이 말의 본질을 알았다. 이것은 매혹적이지만 위험한 거짓말이었다. 나는 나 자신에게 화가 났고, 그것이 내게 필요한 치료법이라는 무의식적인 확신에 화가 났다. 손은 다른 사람의 손을 잡으라고 있는 것이다. 손은 매의 횃대 노릇만 하게 두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야생은 인간 영혼의 만병통치약이 아니다. > (342 343)

 

손은 다른 사람의 손을 잡으라고 있는 것이다.”

이 말이 참매로 상징되는 자연으로의 도피로부터 다시 사람이 사는 곳으로 돌아오는 것, 즉 슬픔이 없어졌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저자는 다시 그 말을 사용한다.

<인간의 손은 다른 인간의 손을 잡으라고 존재한다. 인간의 팔은 다른 인간을 꼭 안으라고 존재한다.> (348 349)

 

결국 그 말은 이런 말로 결론이 난다.

<나는 매가 되기 위해 도망쳤지만, 괴로움 속에서 내가 한 일은 매를 내 거울로 만든 것밖에 없었다.>(343)

 

끝 마무리는 그래서 감동적으로 끝이 난다.

나는 매를 혼자 두고 몸을 돌려 문 밖으로 걸어 나온다. ”(437)

 

참매, 메이블을 슬픔과 함께 떠나보낸 것이다.

 

사족 - 특이한 서술구조

 

저자는 참매를 길들이는 과정을 촘촘하게 기록하는데, 특이한 점이 있다.

다름 아니라, 자기의 기록과 더불어 20세기 초반의 소설가 T H 화이트가 쓴 조련서 <참매>를 군데군데 삽입하는 것이다.

 

마치 옆에 그 사람이 있는 듯, 아니면 옆동네 사는 화이트씨는 이랬다더라 하는 식으로 화이트의 매 훈련 과정을 병행하여 기록하기 때문에, 읽는데 때로는 혼란이 올 수도 있다.

시대를 달리하는 사람이지만, 저자는 자기의 참매 길들이는 모습을 화이트의 경우와 대비하면서 반면교사로 삼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