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어령의 가위바위보 문명론
이어령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5년 8월
평점 :
절판
한국, 가위 역할 제대로 하고
있나?
이어령 교수는 이 책의 성격을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
책은 내셔널,
로칼,
글로벌이라는
세 가지 공간을 살아갈 미래의 사람들에게 바치는 동화이다.
또한
어린 시절 즐겁게 가위바위보로 승부를 겨루던 추억의 벗들에게 바치는 판타지이다.>
(11쪽)
가위바위보!
우리가
어린 시절 친구들과 즐겁게 놀던 시절,
무엇을
정하려고 할 때,
술래를
정한다거나,
차례를
정할 때 흔히 쓰던 방법이 바로 가위바위보였다.
세
명,
혹은
두 명도 좋았다.
서로를
향해 매서운 눈초리로 친구의 머릿속에 들어있을 가위바위보를 가늠해 보던 일이 기억나지 않는가?
가위바위보!
힘차게
소리 지르며 손바닥을 뻗어내며 만들어가던 가위,
바위,
또는
보.
그
손을 바라보는 그 순간,
서로간에
희비의 쌍곡선이 형성되던,
그
가위바위보 말이다.
이어령 교수는 그 놀이를 가지고
문명론을 풀어내고 있다.
가위바위보
문명론,
간단히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무언가를
결정할 떼,
서양
아이들은 동전을 던지지만 아시아 아이들은 가위바위보를 한다.
앞이냐
뒤냐 그 단면만으로 결정하는 동전은 ‘실체’이며
‘독백’이다.
하지만
상대의 손과 만났을 때 의미가 생기는 가위바위보는 ‘관계’이며
‘대화’이다.>(9쪽)
이 문명론의 가치
원래 가위바위보의 원형은 중국의
도교사상에서 비롯되고,
그것이
장사하는 상인들 틈에서 숫자놀이 게임인 수권으로 발전,
나가사키
항을 통해서 일본으로 수입된다.
그
뒤 이 권문화가 온 일본에 퍼져 여러 가지 종류를 낳고 위로는 사무라니,
아래로는
노동 층에 이르기까지 선풍적 인기를 끌게 된다.
저자는 이러한 가위바위보의 기원을
찾아서 서구문명과 한중일 공유가치를 밝히는 작업을 가위바위보 문명론에서 펼치고 있다.
그래서 저자가 의도하는
바는,
이러한
가위바위보 문명이 현시점 -
아시아가
중국 또는 일본이 패권을 다투는 각축장이 되고 있는 이 시점-
에
평화의 문명론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항 대립만 있는 동전 던지기 같은
서구식 게임으로는 과거의 중화주의,
대동아주의를
반복할 수밖에 없는 국제적 상황에서 저자는 평화적 순환이 가능한 가위바위보 문명이 서로 공존할 수 있는 도구가 된다는
것이다.
생각해보자.
가위바위보 게임의 운영을
살펴보면,
반은
닫히고 반은 열린 가위가 있기에 주먹과 보자기는 대결구도에서 벗어날 수 있다.
바위는
가위를 이기지만,
가위는
보자기를 이긴다.
또
보자기는 하위가 아니라,
가위를
이긴 바위를 이긴다.
그러니까
이 게임은 돌고 돈다.
최강자가
없는 구조이며,
최약자가
없는 구조인 셈이다.
그래서 저자는
주장하기를,
가위바위보
문명에서는 그 정상에 오르기 위하여 피투성이가 되도록 싸울 필요가 없다는 것이며,
최하위에
머무르는 바람에 모든 것을 빼앗기게 되는 불행한 일도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 가위바위보 문명론을
한국,
중국,
일본의
대결에 적용하고 있다.
가위바위보 게임처럼 상생하는
문명이라면 한중일 삼국이 사이좋게 공존의 장을 펼칠 수 있다는 논리이다.
삼국의 지리적 조건으로 풀어본
가위바위보 문명,
흥미로운 이야기가 많이
등장한다.
삼국의 지리적 조건으로 풀어본
가위바위보 문명,
또한
흥미를 자아낸다.
중국 대륙의 지리적 조건은
가위바위보의 ‘보’에
가깝다.
손을
최대한 펼친 형태가 대륙의 ‘보’이다.
일본은
대륙의 손바닥과 대립되는 주먹이다.
여유보다는
긴장,
확대보다는
축소지향이다.
그렇게
중국과 일본이 각각 보와 바위로 대립하고 있는 사이에 한반도가 위치한다.
요컨대,
동아시아의
대륙 -
반도
-
섬이라는
자연적인 지리적 조건은 중국은 보,
일본은
바위,
그리고
한국은 가위라는 가위바위보 코드를 초래하고 있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한국의 가위 역할론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가위로
존재하는 한국의 밸런스 기능이다.
가위가 정상적으로 움직이면
동아시아는 이항대립의 시스템에서 벗어나 원형적인 순환과 상생의 시스템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역할론은 제기하는 가위바위보 문명론,
일본이
침략야욕을 다시 한번 돋구고 있는 이 수상한 시점에서 이어령 교수의 가위바위보 문명론은 참으로 시사하는 바가 많다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