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 책 - 사춘기 소년이 어른이 되기까지 지금의 나를 만들어준 불온서적들
이재익.김훈종.이승훈 지음 / 시공사 / 2015년 4월
평점 :
품절


하여튼, 책을 읽든가 쓰든가!

 

 

이 책을 읽고 뭐라 표현할 수 있을까, 생각하던 중에 이 문장을 만났다.

성석제의 책 <번쩍하는 황홀한 순간>을 가지고 이야기 하는 저자 이승훈의 글에서 만났다.

 

성석제가 대단한 점은 이렇게 소개해놓으면 그의 글이 얼마나 대단한지 전혀 알 수 없다는 점이다.” (284)

 

대단하다, 하여튼!

 

그렇다. 이 문장이 마음에 든다. 그래서 빌려 말하자면, 이 책이 대단한 점은, 내가 서평으로 이 책이 얼마나 대단한가를 말 하려고 해도 말할 수 없다는 점이다. 뭔가? 그럼? 읽어봐야 안다는 것이다. 아니 읽어봐야 한다는 것이다.

 

읽어보면 안다? 읽어봐야 한다?

이 책에 소개된 책들이 그렇다. 이 책에 소개된 책들을 읽어보지 못한 사람들로서는 이 책이 말하는 그 책에 관한 그 무엇을 얼른 받아들이기 어렵다. ? 알지 못하므로! 그 책들이 어떤 책인가 알지 못하므로. 아무리 이 책에서 저자()이 신이 나서 말한다 하더라도 그저 그런가 보다하며 떨떠름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 책은 대단한 것이다. 그런 책에 대해서 신나게 떠들어 댈 수 있으니, 얼마나 대단한 책인가? 그게 우선 대단한 것이고, 또 생각해 보라. ‘아니, 그 책이 그렇게 대단한거야, 대체 얼마나 대단하길래, 대단하다 말해도 너희들은 몰라, 라고 말하는 거야, 그래 그럼 나도 읽어봐야겠구만이라는 결론으로 유도하는 이 책이 또한 대단하지 아니한가?

 

그래서 그 저자들의 신남이 질투가 나서 성석제의 <번쩍하는 황홀한 순간>, 이영도의 <눈물을 마시는 새>를 도서관에서 빌려와 읽지 않을 수 없었다. 책을 쓰는 저자에겐 미안한 일이지만 너무 한꺼번에 몰려오는 책을 모두 다 살 수 없는 게 또한 현실 아닌가? 해서 부득이 집 근처 걸어서 3분 거리의 시립도서관에 신세를 질 수밖에!

 

또 하나 빌리자, 한번에 4권이 한도이니, 아직 여유가 있다.

이중텐의 <삼국지 강의>.

 

왜 그 책인가? ‘누가 삼국지를 읽었다고 말하는가’(290)라는 도전적인 글을 읽고 나니 도저히 참을 수 없었다. 해서 역시 빌릴 수밖에.

삼국지, 버전을 바꿔가면서, 또는 번역자를 바꿔가면서 몇 수십 번 읽었던 삼국지인데, ‘누가 삼국지를 읽었다고 말하는가?’ 라는 질문에는, 대체, 답할 수 없으니, 말하지 못한다 답할 수 밖에!

 

하여튼, 책을 읽든가 쓰든가!

 

이중텐 왈, “지혜와 지식은 다르다. 지식은 사회에 속하고, 지혜는 개인에 속한다. 지식은 주고 받을 수 있지만, 지혜는 오직 깨달을 수 밖에 없다”( 300), 깨닫기 위해 책을 읽어야 하겠지?

 

그렇게 이 책에서는 세 명의 필자가 각각 책을 통해 세상을 알게 된 것, 그래서 깨닫게 된 사건들을 풀어놓는다. 재미지게, 재미나게!

 

그러니 이 책을 잡고 읽으려는 사람들은 일단 이런 각오를 하자.

책을 더 열심히 사랑한다는 말에 걸맞도록 읽는 사람이 되던지, 아니면 그런 책을 누구처럼 - 누구긴 누구? 여기 필자 세 명이지- 써보기를 작정하든지. 하여튼, 책을 읽든가 아니면 쓰든가, 모두 다 행복한 일이기는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