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보 너머의 클래식 - 한 소절만 들어도 아는 10대 교향곡의 숨겨진 이야기
나카가와 유스케 지음, 이은정 옮김 / 현익출판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악보 너머의 클래식

 

이 책은 유명한 작곡가, 그리고 그 유명한 작곡가의 유명한 교향곡을 소개하고 있다.

유명한 작곡가에 유명한 교향곡이 한 두 개가 아닐 터인데, 여기에서는 그 중 10개를 소개하고 있다. 수많은 교향곡 중 10, 그렇게 뽑힌 것이니 대단한 곡이 아닐 수 없다.

그렇게 엄선된 10개 교향곡은 어떤 것일까?

 

10개 중 베토벤의 곡이 3개나 된다는 것, 우선 말해둔다. 그만큼 베토벤의 성가(聲價), 문자 그대로 성가가 대단하다고 아니할 수 없다.

 

베토벤의 교향곡 3: [영웅], [운명], [전원]

모차르트 : [주피터]

슈베르트 : [미완성]

베를리오즈 : [환상]

차이콥스키 : [비창]

드보르작 : [신세계]

말러 : [거인]

쇼스타코비치 : [혁명]

 

그렇다면 이 책에 수록된 10개의 교향곡은 어떤 이유로 뽑히게 되었을까?

 

저자는 각 교향곡이 10개의 교향곡으로 뽑히게 된 이유를 우선 간단하게 밝힌다. 그 내용을 목차에서 확인할 수 있기에 여기 옮겨본다.

 

모차르트 [주피터] - 교향곡의 최고신

베토벤 [영웅] - 영웅이 된 교향곡

베토벤 [운명] - 운명이 문을 두드리면서 시작되는 교향곡

베토벤 [전원] - 전원의 분위기와 정경이 느껴지는 교향곡

슈베르트 [미완성] - 미완성임에도 불구하고 명곡이 된 교향곡

베를리오즈 [환상] - 사랑의 열병 속에 탄생한 교향곡

차이콥스키 [비창] - 조용히 끝나는 교향곡

드보르작 [신세계] - 대서양을 건넌 교향곡

말러 [거인] - 모습을 바꾸고 이름을 바꾼 교향곡

쇼스타코비치 [혁명] - 대숙청에서 탄생한 교향곡

 

그 중에서 몇 가지 특이한 사항 정리해 본다.

 

교향곡의 제목, 표제에 대하여

 

교향곡 중 위에 적은 것처럼 제목이 붙게 된 곡이 많다. 이 책에서는 10개의 교향곡에 모두 제목을 표시해 놓았는데, 그런 제목은 어떻게 해서 붙은 것일까?

 

우선 [주피터]는 원래 그런 제목이 없었는데, 사람들이 애칭을 주피터로 부르게 되면서 아예 제목으로 부르게 되었다. 이런 이름을 붙이게 된 것은 모차르트가 아니고 공연 기획자인 요한 페터 잘로몬이라고 알려져 있다.(16)

 

베토벤의 [전원]은 작곡자가 직접 표제를 부여한 경우이다. 참고로 이 때의 표제는 title이 아니라 program을 번역한 것이다. (13)

 

베토벤의 [영웅]에 관해서는 프랑스의 황제 나폴레옹과의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베를리오즈와 프랑스 7월 혁명

 

프랑스의 7월 혁명은 18307월에 일어난 사건이다.

샤를 10세에 대한 반 국왕의 분위기가 무르익어 무장봉기가 일어났는데, 그때 베를리오즈는 로마상 응모를 하였고, 응모자들은 아카데미의 한 곳에 들어가 작곡을 하고 있었다. 그 안에 있을 때 심지어 포탄이 지붕을 넘어 베를리오즈가 묵고 있던 방 외벽에 부딪혀 폭발한 일도 있었다.

작곡을 모두 마치고 아카데미 밖으로 나온 베를리오즈는 혁명파에 참여해 시위를 벌였고, 그는 파리의 민중들에게 혁명가 <라 마르세예즈>를 가르쳐 대합창을 시키기도 했다. (298)

 

이렇게 베를리오즈(와 베토벤)는 프랑스 혁명과 관련이 깊다.

이 때 응모한 로마상에서 베를리오즈는 1등을 차지했다. (199)

 

차이콥스키의 [비창]

 

이 곡을 들어본 사람은 금방 다른 곡과의 차이를 느낄 수 있다. 대개의 경우 교향곡은 피날레가 남다르다. 무언가 웅장하고 화려하게 끝이 나는데 비하여 [비창]은 다르다.


그 부분, 이 책에서 옮겨본다.


차이콥스키의 새 교향곡은 조용히 사라지는 듯 끝이 난다. 교향곡의 피날레라고 하면 보통 화려하게 끝나는 것이 관례였으므로 청중들은 이렇게 끝난 건가?’, ‘아직 더 남았나?’ 하며 당황했다. 그러나 지휘대의 차이콥스키는 조용히 팔을 내렸다. 홀은 침묵에 휩싸였다. 차이콥스키도 혼이 나간 것 같았다. 그리고 정신을 차린 듯 객석을 향해 고개를 숙였다. 박수가 띄엄띄엄 나오기 시작하더니 점점 커져 우레와 같은 박수로 바뀌었다. 조용히 끝나는 교향곡 [비창]이 음악사에 등장하는 순간이었다. (210)

 

차이콥스키가 지휘하는 연주는 들어보거나 볼 수 없지만, 지금도 [비창] 연주를 들어보면 마지막 피날레에서 지휘자가 어떤 식으로 마무리를 하는가 찾아볼 수 있다.

 

드보르작과 스메타나 (239)

 

드보르작은 모두 11곡의 오페라를 작곡했지만, 현재에도 상영되는 것은 <루살카> 한곡뿐으로 오페라 작곡가로서는 성공했다고 말하기 어렵고, 대신에 교향곡이나 현악 사중주곡에 명작을 많이 남겼다,

그 반면에 스메타나는 오페라와 교향시에 명작을 남겼지만 교향곡으로는 <축전> 한 곡뿐이다.

 

이에 대하여 저자는 이렇게 평을 하고 있다.

 

체코의 2대 작곡가는 사전에 맞추기라도 한 듯 잘하는 장르를 깔끔하게 둘로 나눠 가졌다. (239)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5[혁명]

 

여기 이런 기록이 있다.

 

1악장은 짓눌리는 것처럼 고통스럽다. 첫머리의 다다- , 다다-이라는 강렬한 울림은 베토벤의 제 5번을 떠올리게 한다. (301)

 

그러니까, 이렇게 대비가 된다.

 

쇼스타코비치 51악장 다다- , 다다-

베토벤 5[운명] 1악장 다다다 단-’

 

직접 들어보았다. 베토벤의 51악장을 떠올리기는 하지만, 분위기는 다른 것 같은데.....

 

또하나, 기록할 것이 있다.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5번을 [혁명]이라고 부르는 것은 오직 아시아에서만 그렇다는 것이다. 그것도 우리나라, 일본, 중국에서만 그렇게 부른다는 것.

소련에서는 물론 유럽에서도 그렇게 부르는 나라는 없다고 한다. (303)

 

다시, 이 책은?

 

지금껏 교향곡에 얽힌 일화를 여기저기 책에서 읽어왔지만, 이 책에서처럼 한 곡당 많은 이야기를 차분하게, 그리고 다양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는 책은 아마 처음인 듯하다.

 

그래서 적어도 이 책에 실린 10개의 교향곡에 대하여는 어느 것 하나 부족함 없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는 점, 이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