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인트 헬레나에서 온 남자
오세영 지음 / 델피노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인트 헬레나에서 온 남자  

 

저자의 다른 작품예컨대 베니스의 개성상인을 읽어본 독자들은 이번 작품에서 몇 가지

챙겨보면서 읽게 될 것이다.

 

베니스의 개성상인에서는 주인공이 임진왜란을 당하여 베니스로 가게 되는 기회를 만나게 되는데이번 작품에서 주인공은 어떤 일을 연결점으로 삼아서 세인트 헬레나 섬으로 가게 될까?

 

세인트 헬레나 섬은 나폴레옹의 최종 유배지이니다른 사항 말고 프랑스의 대혁명이라든지 아니면 전쟁과 관련된 사건이 있어야 하는데....그때 떠오른 게 바로 조선의 동학혁명과 홍경래의 난이다.

그런 사건이라면 세인트 헬레나 섬의 나폴레옹과 연결점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니까.

 

해서 연도를 확인해보니홍경래의 난은 1812년 1월부터 5월까지다.

 

홍경래의 난(洪景來)은 1811(순조 11음력 12월 18(양력 1812년 1월 31)부터 1812(순조 12) 5월 29(음력 4월 19)까지 홍경래·우군칙 등을 중심으로 평안도에서 일어난 넓은 의미에서의 농민 반란이다. (위키 백과)

 

나폴레옹이 세인트 헬레나 섬으로 유배를 온 것은?

1815년에 유배를 와서 1821년에 거기에서 생을 마감한다.

 

그러니 몇 년 사이가 있긴 하지만 두 사건의 연대가 맞아떨어지는 것이다.

차이나는 몇 년 정도야 주인공에게 준비할 시간을 주는 것이니까 오히려 안성마춤인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마주한 저자얼마나 신이 났을까?

 

시간상으로 그런 연결점이 하나그다음 연결점은 어떤 게 있을까?

사상이다.

 

홍경래를 보좌하면서 봉기를 준비했던 주인공 안지경은 난에 참여하면서도 불안한 마음을 금치 못한다왜냐면 혁명을 주도할 마땅한 대의가 부족한 것이다.

그래서 이런 속내를 내비친다.

.

학정에 반발해서 들고 일어난 민란과 새 세상을 여는 혁명은 다른 것이다.

혁명은 근본적으로 진취적이어야 한다.

속히 서북면에 한정하지 말고 팔도의 백성들로부터 호응을 얻어낼 수 있는 혁명의 대강을 만들어야 한다. (19)

 

새로운 세상에 대한 제시가 부족한 건 사실이다불만을 폭발시키는 것과 대안을 마련하는 것은 별개다열정으로 뚫고 나가는 일이 있고냉정으로 해결해야 하는 일이 따로 있게 마련이다. (23)

 

홍경래는 어떻게 군사를 움직이겠다는 계획도 치밀하지 못했고봉기의 대강도 제대로 마련하지 못하고 있었다분노만으로는 조선의 숨통을 끊어놓지 못한다. (78)

 

혁명을 왜 하는가?

무엇을 위해 혁명을 하는지새 세상은 어떻게 다를지를 백성들에게 심어주지 못했다. (118)

 

결국 홍경래의 난은 실패로 끝나고 만다.

하는 수 없이 피신 길에 나서는 주인공 안지경파도의 도움으로 살아나 드디어 세인트 헬레나 섬도 도착나폴레옹을 만나게 된다아니 나폴레옹이 아니라 서양의 민주주의를 만나게 되는 것이다.

 

프랑스 혁명에 대하여 공부도 한다이런 내용들

 

프랑스 대혁명은 유럽의 여러 나라로부터 강한 반발을 불러왔다유럽은 왕실끼리 혼인을 통해서 깊이 연관이 되어 있다프랑스 귀족은 프랑스 평민과 영국 귀족 중에서 당연히 영국 귀족에게 더 동질성을 지니고 있었다프랑스에서 평민들이 혁명을 일으켜서 국왕을 처형하자 유럽 각국은 일치해서 프랑스 부르봉 왕조 구원에 나섰다. (179)

 

<외딴 섬의 황제>라는 장에 보면주인공 안지경이 때로는 피에르 신부에게 때로는 나폴레옹으로부터 프랑스 역사과 프랑스 혁명에 대하여 듣고 배운다.

직접 몸담았던 조선의 혁명이 미완으로 끝이 난 다음이니 그런 배움은 안지경에게 꿀처럼 달게 느껴졌을 것이고또한 몸에 체화되어 남게 됐을 것이다.

 

더하여 프랑스 혁명에 대해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마치 안지경처럼 프랑스 혁명에 대한 가르침도 간력하게나마 배울 수 있을 것이다.

 

밑줄 긋고 새겨볼 말들

 

성은 안에서부터 무너진다. (42)

 

칼레파 타 칼라 (kalepa ta kala) (179)

고대 그리스 격언, ‘좋은 일은 이루어지기 힘들다.’

 

혁명은 끝이 아니고 시작이다. (180)

 

이 그림은 어디에 있을까?

 

주인공이 나폴레옹 접견실에서 보았다는 그림이 있다.

 

백마를 타고 붉은 망토를 휘날리며 알프스를 넘는 접견실의 커다란 그림은 남자의 야망과 포부가 얼마나 원대한 것인가를 여실히 말해주고 있었다. (170)

 

그림의 내용을 보니 그 그림은 자크 루이 다비드가 그린 <알프스 산맥을 넘는 나폴레옹>으로 추정된다그 그림이 과연 세인트 헬레나 섬까지 갔었을까?

 


 

 

물론 이 책은 소설이니 그것에 대한 사실 여부를 따질 이유가 없지만 허실삼아 생각해보자는 것이다.

 

이 그림은 모두 5장이 그려졌다는데혹시 그중의 한 점이 세인트 헬레나 섬에 가 있었을지도 그런 상상을 하면 소설이 더욱 재미있어진다.

 

다시이 책은?

 

이 책은 역사책이다역사 팩션이다.

소설에서도 배울 게 많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작품이다.

 

소설이니 줄거리는 스포일러가 될까 봐 생략하지만이것 하나만 적어둔다.

다시 조선으로 돌아온 안지경세력을 규합하여 원수가 된 몇 명의 배반자에게 복수도 하고그다음 단계로 들어선다.

프랑스 혁명에서 배운 바그것을 조선에서 이루기 위해 열심을 내지만 그게 어디 하루 아침에 이루어질까?

 

그런데독자인 나로서는 역사의 실제가 그런 혁명이 다시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그래서 성공도 하지 못했다는 것을 다 알고 있는 것이니까 소설의 결말이야 그렇다쳐도 그 사상만큼은그대로 주저앉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했었다그래서 주인공이 어떻게 해서든지 그 명맥을 이어가기를 바랐는데그 마음 저자가 알아차렸는지. 마지막 장의 제목이 <여명>이어서 얼마나 마음이 놓였는지 모른다그래서 마음 홀가분하게 책을 덮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