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세계대전 1 - 유럽의 등불이 꺼지다 궁극의 전쟁사
곽작가 지음, 김수박 그림 / 레드리버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차 세계대전 1 - 유럽의 등불이 꺼지다

 

이 책은 만화다.

다루고 있는 주제는 제목이 말하는 것처럼 제 1차 세계대전이다.

전쟁을 주제로 하여 그려진 만화다.

 

제 1차 세계대전그저 사라예보의 총소리라는 말로 알고 있던 세계대전. 1차 세계대전이 왜 일어났을까그 경과는 무엇이며그 결과는 무엇이었던가잘 모르고 있었다.

 

이 책에서 1차 세계대전의 과정을 다음과 같이 다루고 있다.

 

│ 사라예보의 총성

│ 흔들리는 유럽의 균형

│ 7월의 위기

│ 개전

│ 국경의 전투

│ 타넨베르크와 동부전선

│ 대퇴각과 마른 전투

 

이 책의 특징을 몇 가지 언급하자면 다음 두가지를 .들 수 있다.

 

내용 면에서그간 1차 세계 대전에 대하여 모르고 있었던 속사정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삼국 연합과 삼국 동맹 사이에 갈등이 존재했다는 것과

그리고 독일의 정치 지형이 변했다는 것을 꼽을 수 있는데빌헬름 2세의 등장이다.

사라예보에서 울린 총소리는 그저 명목상의 이유에 불과했다.

 

삼국 동맹 독일오스트리아 헝가리이탈리아

삼국 연합 영국프랑스러시아.

 

특히 이 책은 전쟁이 시작된 후의 전쟁 상황에 대해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해서 전쟁의 경과를 잘 보여주고 있는데특히 지휘관 간의 갈등전투 장면들을 실감나게 묘사하고 있다는 점도 특기할 만 하다.

 

이때 등장한 신무기 빅 베르타에 관해 마침 찰리 채플린을 연관하여 소개하고 있어찰리 채플린의 영화 몇 편을 챙겨보면서 이 책을 읽었다.

 


 

찰리 채플린과 1차 세계대전

 

이 책과 함께 살펴본 찰리 채플린의 영화는 <어깨 총>과 <위대한 독재자>이다.

 

찰리 채플린의 영화 <어깨 총>은 1차 대전의 그 유명한 참호전을 배경으로 한 것이고,

<위대한 독재자>는 히틀러의 등장을 1차대전부터 연관시켜 다루고 있는 아주 통찰력있는 영화다.

 

먼저, <어깨 총>은  유명한 참호전을 배경으로 한 것인데,

그런 비극이 펼쳐지는 비극적인 상황에서 찰리 채플린은 그러한 상황을 희극으로 유쾌하게 풍자하고 있다참호 진지에 들어가면서도 노크하고 들어간다든지담뱃불을 붙이려고 담배를 참호 위로 들어올리자 적의 총알이 날아와 불을 붙여준다든지그런 장면들이 상황을 비극적 희극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책에서도 전쟁이 교착된 상황에서 양측이 참호를 파고 대치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이 책에서는 참호전을 이렇게 그리고 있다.



 

<위대한 독재자>에서는 어떻게 1차 세계대전을 보여주는지 살펴보면 이 책에서 묘사하는 것들이 여러 가지 등장한다.

 

빅 베르타 : Big Bertha

(1차 대전 때의독일군의 거대한 대포고성능 대포.

(참고로이 이름은 캘러웨이의 골프채 이름이기도 하다빅 버사.)

 

리에주의 요새들을 최종적으로 굴복시킨 것은 크루프 사가 생산한 420mm 대구경포였다별명은 빅 베르타. (113)

 


 

<위대한 독재자>에서는 찰리 채플린이 이 대포를 쏘면서 여러 가지 희극적인 장면이 등장한다.

 

안개 속에서 길을 잃다.

 

또 하나찰리 채플린이 동료들과 같이 가다가 안개가 자욱하게 깔리자 길을 잃게 된다나중에 안개가 걷히고 적군과 같이 걷고 있는 것을 알게 되자도망치는 장면이 등장하는데그게 실제 전투에서도 실제 있었던 것이라는 것을 이 책을 통하여 알게 된다.

 

이 책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살펴보자.





 

다시이 책은?

 

실제 전투 장면을 그린 책의 내용에서나찰리 채플린이 연기한 안개 속 장면은 모두다 인상적이다.

 

현재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전쟁들마치 인생의 앞날이 마치 안개속을 헤매는 것처럼 한치 앞도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그리고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

누가 그런 전쟁이 일어날 줄 알았을까?

이스라엘의 그 유명하다는 정보기관조차 예측하지 못 했다 하지 않는가?

 

이 책그래서 첫째는 1차 세계대전에 관한 정보 제공의 차원에서

그리고 전쟁이라는 것이 얼마나 비인간적인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며, 반전을 강조한다는 차원에서도 가치가 있다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