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역사 다이제스트 100 New 다이제스트 100 시리즈 2
손주영.송경근 지음 / 가람기획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집트역사 다이제스트100

 

이집트란 나라익숙하다.

 

세계 4대 문명중 하나인 나일강부터 시작해서.

이스라엘의 반대편에 서 있는 나라이스라엘과 전쟁을 한 나라.

피라미드와 스핑크스의 나라,

스에즈 운하그리고 클레오파트라의 나라.

 

그러나 그 정도에서 끝이다더 이상의 자세한 내용은 잘 모른다.

그래서 이집트의 역사가 궁금해서 이 책을 읽었다.

 

그 나라 역사를 개괄하자면 다음과 같다.

 

1고대 이집트 시대(BC 3000~BC 341)

2그리스·로마 시대(BC 332~AD 641)

3이슬람 시대(641년 -1798)

4현대 이집트(1798년 - 현재)

 

그렇게 나누고 보니내가 알고 있는 것은 고대와 그리스 시대 약간뿐이 아닌가?

그것도 겨우 표피적인 부분만 알고 있기에이 책은 이집트의 재발견이나 마찬가지였다.

 

이집트 역사를 훑어보자면역사는 무려 7,000년이나 된다.

그런 역사를 가진 이집트가 그리스 로마를 만나서 어떤 역사를 만들어갔을까?

또한 그 후로도 이슬람 세력과의 관계그리고 현대에 들어서면 더한 역경의 역사가 펼쳐진다그래서 특기할 사항들이 많다.

그 유명한 파라오를 거쳐 클레오파트라그리고 나폴레옹의 이집트 침공또 스에즈 운하 등

살펴볼 것들이 많은 나라가 분명하다.

해서 시대별로 살펴볼 부분을 적어보았다.

 

1고대 이집트 시대(BC 3000~BC 341)

 

나일 문명

피라미드와 스핑크스

임호테프 계단식 피라미드 축조

람세스 2

 

2그리스·로마 시대(BC 332~AD 641)


알렉산더알렉산드리아 건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작

파로스 등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클레오파트라

로마 속주로 전락

이집트비잔틴 제국의 영토로

 

3이슬람 시대(641년 ?1798)

 

십자군의 영웅 살라딘

십자군 세력 물리치다.

오스만 제국의 이집트 점령

 

4현대 이집트(1798년 ?현재)

 

나폴레옹 이집트 침입

로제타 석 발견 상형문자 해독

수에즈 운하 개통

이스라엘과 전쟁

 

피라미드를 왜 만들었을까?

 

이집트인의 무덤은 그야말로 사자(死者)의 집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하나의 완벽한 생활 공간이었다무덤 안에는 죽은 자를 위해 시중을 들 요리사와 빵 굽는 사람이발사 등의 동상이 있었고사자가 지루한 시간을 보내는데 쓸만한 온갖 기구와 악기들도 갖추어놓았던 것이다죽은 자가 부자일수록 값이 나가는 보석들이 함께 묻혔으며심지어 사자를 위해 화장실까지 마련한 경우도 있었다. (27)

 

막막한 사막에다 무덤을 만들었다그러나 사막은 주변에 무덤을 보호해줄만한 것이 없는 탓에 야생동물과 도둑들이 자꾸 미라를 훼손시키고 보석을 훔쳐가는 일이 다반사였다그러자 이집트인들은 무덤 위에 석탑을 쌓기 시작했다부유할수록 석탑은 더 높았으며 세월이 갈수록 탑의 규모는 점점 커졌다. (28)

 

그렇게 해서 무덤 위에 석탑을 쌓기 시작한 것이 나중에는 피라미드처럼 큰 건축물을 만들게 된 게 아닐까?

 

조세르계단식 피라미드를 세우다

 

여기에서 임호테프를 만난다.

계단식 피라미드 건설의 주역은 파라오 조세르가 아니라그의 신하이며 제사장이던 임호테프였다.

 

그가 죽어서도 왕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유일하게 신의 대접을 받는 것만 보아도 그가 생전에 얼마나 위대한 일을 했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임호테프는 헬리오폴리스 신전의 제사장이었다. (49)

 

다른 책에서도 그의 위대함은 찾아볼 수 있다.

(폴리매스는 타고나는가피터 홀린스 저/박지영 역)

 

그는 정치가이면서 의사신학자대사제시인공학자이기도 했으니 폴리매스로 불려도 전혀 손색이 없는 인물이다,

 

의학적 공헌

 

그는 질병이 자연적인 현상이지신이 내린 징벌이 아닌 것을 밝혀냈다.

당시의 통념을 깨버린 것이다.

그는 이집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천연 재료를 이용하여 안과담석통풍피부과 질환,

결핵심지어 치과 질환까지 치료했다고 한다.

 

피라미드 건설 등 공학적 공헌

 

임호테프는 사카라에 있는 계단식 피라미드의 건축가로 유명하다사카라의 계단식 피라미드는 이집트 최초의 피라미드이자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경이로운 공학 기술의 결정체였다.

(위의 책, 177)

 

또한 그는 나일강을 이용하여 이집트를 큰 가뭄에서 보호하는 정교한 관개시스템을 구축했다.

그리고 종교의학건축을 주제로 왕성한 저술 활동을 하여 후대에 중요한 유산을 남겼다.

고대 이집트는 수천 년 동안 고도로 발달한 문명을 누리며 성장과 발전과 번영의 중심지로 떠올랐다이 위대한 시절을 떠받친 선구자 임호테프는 자신의 천재성을 마음껏 발휘하여 고대 이집트 문명을 찬란하게 꽃피운 일등공신이었다. (위의 책, 178)

 

클레오파트라는 어떤 사람인가?

 

로마인 이야기(시오노 나나미)나 마스터스 오브 로마(콜린 매컬로), 그리고 셰익스피어의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 등을 읽으면서 알게 된 클레오파트라그녀의 정체를 이 책을 통해 정리해볼 수 있었다.

 

그녀의 정체를 다음 장을 통해서 알 수 있다.

 

43. 세계 최대 규모였던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172쪽 이하)

44. 위대한 여걸 클레오파트라와 안토니우스의 사랑 (175쪽 이하)

45. 악티움 해전과 클레오파트라의 최후 (180쪽 이하)

 

다시이 책은?

 

이 책으로 이집트의 7,000년 역사를 100개 항목으로 추려 살펴볼 수 있다.

일반 독자를 위한 이집트 역사책이 드문 상황에서 이 책은 이집트 역사를 개관하는 데는

아주 적절한 책이라 생각된다. 

 

다만, 저자의 다음과 같은 설명은 의아하다. 제대로 된 내용이 무엇인지 궁금해진다.

 

스핑크스의 질문에 관한 설명(47)

 

고대 이집트 수도였던 테베의 암산 부근에 살면서 지나가는 사람에게 아침에는 네 다리로낮에는 두 다리로밤에는 세 다리로 걷는 짐승이 무엇이냐?’라며이른바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를 내어 그 수수께끼를 풀지 못한 사람을 잡아먹었다는 전설이 유명한데오이디푸스가 그것은 사람이다라고 대답을 하자..... (이하 생략)

 

궁금한 것은 이것이다.

이집트의 테베에서 오이디푸스가 등장하는 것일까?

오이디푸스는 그리스의 테베 사람이 아닌가그리스 신화에 의하면(소포클레스 비극에 의하면오이디푸스는 그리스에 있는 테베의 왕자로 태어났다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한다는 신탁 때문에 버려졌으며결국 코린토의 왕자로 자라나다가 테베로 오는 길에 아버지를 죽이고 (이하 생략)

 

그러니 테베라는 도시 이름은 같지만 오이디푸스의 활동무대는 이집트가 아니라 그리스인 것이다아니면?

원래 이집트에서 전해내려온 신화를 그리스에서 가져다가 자기들의 신화로 만들어버린 것인 아닌지? 그게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