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仁祖 1636 -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유근표 지음 / 북루덴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조仁祖 1636

 

우리 역사는 왜 항상 그 모양인가! 저절로 한숨이 나온다.

왜 항상 옆의 나라에 굴욕을 당하면서 살아야 하는가?

 

그런데 문제는 외부의 힘을 이기기 위해 내부의 힘을 뭉쳐야 하는데뭉쳐 싸워도 모자랄 판에꼭 거기에 딴짓을 하는 무리들이 있다는 게 큰 문제다.

 

이 책 인조 1636을 읽기 전부터 그런 생각을 갖고 있었는데이 책을 읽으니 그런 생각이 백배나 더 강해진다,

 

왜 국제정세를 바로 보지 못하고 코앞의 이익만 위해서 나라를 망치는가?

 

재조지은이 무슨 망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임금 자리에 앉아 왕노릇하던 선조는 도망치기 바빴다.

왜군과 싸워볼 생각은 안 하고 저 혼자 어떻게 하면 살 수 있을까오직 그생각만 하고 있었다한양을 빠져나가 평양으로또 평양에서 의주로 도망치고 이제는 중국으로 갈 생각까지 하고 있었으니그게 무슨 왕이람하여간 우리 조선의 역사에 그런(?) 왕이 없었다. 

 

그런데 선조 다음에 광해군그리고 반정으로 왕의 자리에 앉은 인조는 한 술 더 뜬다자기들 이익을 위하여 광해군을 쫓아내고 한 자리씩 나눠먹다가 나라를 망하게 했으니하여간 대단한 왕이다정말로 이런 역사를 읽다보면 열불이 난다.

 

왜 그들은 역사에서 교훈을 얻지 못하고 매번 같은 짓을 되풀이 하는가?

선조또 인조 그리고 고종또 같은 일을 반복하지 않는가?

어디 그뿐인가?

 

조선후에 겨우 나라를 세운 대한민국에서도 호언장담하다가 정작 북한이 쳐들어오자국민은 나몰라하고 제 살길 찾아 혼자 도망친 대통령이 있지 않은가?

 

이 책 인조仁祖 1636은 그런 역사의 한 줄기 부분을 보여준다.

 

광해군인조의 이야기를 풀어가는데, 그 두 임금을 둘러싼 중국의 정세를 잘 풀어놓아조선이 어떤 식으로 중국을 바라보고 있었는가를 잘 설명하고 있다.

 

조선의 입장은?

 

조선 조정의 입장은태도는?

그저 아무 일도 한 게 없다그저 대국 눈치만 보고 있었는데그것도 번지수가 틀리게 눈치를 보느라 결국 나라가 망해버린 것이다.

 

광해는 그래도 국제 정세에 조금 눈을 떠서 명과 청나라 사이에 뭔가 해보려고 노력한 반면에 인조는 광해를 쫒아낸 명분이 재조지은이고 친명배금이었으니그야말로 썩은 동아줄을 열심히 잡고 있었던 것이다.

 

그 결과 병자호란이 일어난 것이다.

이 책 2부와 3부에서병자호란과 병자호란 이후의 일을 다루고 있다.

 

병자호란이라는 호된 매를 맞았으면 정신 차리고 무언가 바꿔보려고 노력해야 하는데그런 일은커녕 청나라에서 볼모로 고생하다 돌아온 소현세자를혹시 왕좌를 빼앗길까 두려운 마음에 냉대하고결국 사지로 몰아넣어 버리고 만 것이다.

 

죽어나가는 건 불쌍한 백성들

 

그런 와중에 애꿎게 당한 백성들의 피해는 어느 정도일까?

 

삼천리 강토를 폐허 상태로 만들고 수많은 생령들의 목숨을 앗아간 임진왜란은 ......(19)

 

인조 반정후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이괄이 도성에서 빠져나가는 와중에이괄은 40여명의 패잔병을 이끌고 탈출하는데 성공하는데이 과정에서 80여명의 도성 백성들이 참살당했다. (47)

 

역사의 기록에서 백성의 수는 그저 숫자에 불과한 것처럼 느껴진다.

백 명 이백 명은 아무런 의미없는 숫자다웃사람들이 권력놀음에 미쳐 돌아가는데 백성들은 아무런 죄도 없이 백명 이백명씩 죽어나간다.

 

그래서 80여명이란 숫자는 오히려 약과다.

병자호란이 일어나고 인조가 머리를 조아려 항복한 후에는 청나라에 볼모로 끌려간 소현세자를 비롯하여 수많은 백성들이 포로가 되어 끌려갔다.

가는 중에또한 청나라에 가서도 아녀자들은 청나라 군사들의 노리개가 되었고남자들은 종노릇하거나 죽거나이에 대한 기록은 이 책 237쪽에서 247쪽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런 것 새롭게 알게 된다

 

광해군의 술 취한 밤 :

 

인조가 반정을 일으켜 궁궐로 쳐들어간 그 시각에 광해군은 술잔치를 벌이고 있었다. (25) 

이날 저녁 광해군은 평소 자신이 총애하던 상궁 김개시와 더불어 창덕궁 어수당에서 연회를 벌이고 있었다광해군에게 역모 사실을 고한 신하가 있었으나 술에 취해 있던 광해군은 그 일을 뒤로 미뤄버렸다 

우리 역사에 그런 임금이 있었다.

 

입보처(入保處)란 게 있다. (52) :

유사시 성이나 섬으로 피난할 장소.

백성이 피난할 장소가 아니다왕이나 대신들이 도망칠 곳을 미리 정해둔 곳이다.

강화도가 제일 순위였고그 다음이 남한산성이었다.

 

다시이 책은?

 

친명배금을 명분으로 광해를 쫒아내고 왕위에 올랐으면 왕노릇이라고 제대로 할 것이지그냥 어리석은 짓만 골라 하다가 나라를 토탄으로 빠트린어리석은 임금 인조.

 

역사는 준엄하다.

역사는 조선에 3명의 혼군(昏君)이 있음을 기록하고 있다.

그 중에 한 명이 자랑(?)스럽게도 인조다.

 

나머지 두 분은?

선조와 고종이다그 두 분이 왜 혼군으로 분류되는지 그 이유를 우리 모두 이미 알고 있다.

 

우리가 그런 사실을 알고 있다는 게바로 준엄한 역사인 것이다.

이 책으로 다시 한번 역사의 준엄함을 새겨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