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지접합 전문가 - SF단편집
하시문 지음 / 케포이북스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SF단편집 수지접합 전문가 

 

이 책은 소설이다. SF단편집.

저자는 하시문.   

 

이 책에는 표제작인 <수지접합 전문가>를 비롯하여 모두 10편의 단편소설이 실려있다.

각 제목은 다음과 같다.

 

나는 아직도 살아있다

당신의 과오를 깨끗하게 씻겨 드립니다

그를 말한다

내 사랑, 편히 주무셔요

말하는 넌 내 총이다

아기 돌보는 남자

수지접합 전문가

드라큘라 씨 너무 과했습니다

거기서 왔습니다

날마다 없어지는 하루

 

우선 말하고 싶은 것 하나.

읽기가 쉽지 않다. 먼저 줄거리 파악이 쉽지 않다.

모두다 단편인데, 줄거리를 파악할 때쯤이면 소설이 끝이 나니, 내용을 음미하고 즐길 시간적 여유가 없다. 그것도 소설의 기법인지 모르겠지만.

 

의미 파악을 힘들게 하는 것은, 사소할지 몰라도 이런 경우다.

<나는 아직도 살아있다>에서 주인공의 이름은 화동군이다. 화씨 성? 흔하지 않은 성이다.

해서 그 이름을 대할 때, 잠시 망설여진다. 이게 무슨 의미인지? 이름인지, 직책인지?

 

, ‘칸노인이 있다. 멀리서 온 자. 그런네 이름의 끝 두 글자가 '노인'이라서 순간 헷갈린다. ‘이라는 성씨 또는 이름을 가진 노인(老人)이란 말인가? 아니면 칸노라는 행성에서 온 사람()이란 말인가?

 

물론 그런 의문쯤은 글을 읽다보면 어디쯤에선가 다 해소된다.

<심지어 칸노 행성이 여전히 번성하고 있는 것까지 확인을 했지요.>(62)

 

그러나 단편인만큼 그런 의문에 헤매다 보면, 페이지는 자꾸 넘어가 버리고, 이야기는 끝을 향하여 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그런 곳에 약간의 친절을 베풀어 주었으면 좋았을 것이다. 예컨대 칸노인(Kanno )’ 하는 식으로.

 

또 있다. <그를 말한다>에서의 왕사돈’(155, ‘사돈’ - 157)

사돈은 가족관계에서 사위 또는 며느리 집안의 부모를 부를 때, 쓰는 용어다.

 

사돈 査頓 .

 혼인한 두 집안의 부모들 사이 또는 그 집안의 같은 항렬이 되는 사람들 사이에 서로 상대편을 이르는 말.

혼인으로 맺어진 관계. 또는 혼인 관계로 척분(戚分)이 있는 사람.

 

그런데 등장인물의 이름을 하필이면 왕사돈이라 했을까?

 

의문은 또 이어진다.

163쪽에서 행동의 주인공인 는 누구인가?

다른 장면에서는 행동의 주인공을 모두다 밝혀 놓았는데, 이 부분 3 페이지에 걸쳐서 행동하는 사람 는 누구인지 이름을 밝혀놓지 않았다. 나중에 의 이름을 알 수 있는 어떤 단서가 주어지는 것일까? 아니면 그 앞장면의 주인공 치윤의 행동을 계속 서술하고 있는 것인가?

 

<그를 말한다> 는 분명 의미있는 작품이다. 멸망한 지구가 배경으로 디스토피아를 그리고 있다. 등장인물은 치윤, 왕사돈, 그의 딸인 왕상리, 멸망한 지구에 등장하는 인물들이다. 그런 인물들을 통하여 파괴의 소리지만, 전과는 달리 탄생의 예고이기도 하다며 희망을 말하는 것으로 소설은 끝이 난다.

 

따라서 위에 말한 바, 불친절한 소설 기법은 디스토피아 상황을 강조하기 위한 저자의 빅 픽쳐일지도 모르겠다. 그런 데까지 생각하는 것, 평론의 영역으로 넘기고, 독자인 나는 그저 줄거리 파악에 시간이 걸렸다는 것, SF 소설이라 그럴지도 모르겠다는 근거없는 추측도 하게 된다는 것, 까지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