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센트 나의 빈센트 - 정여울의 반 고흐 에세이
정여울 지음, 이승원 사진 / 21세기북스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빈센트 나의 빈센트

 

이 책은?

 

이 책은 빈센트 나의 빈센트, 작가 정여울의 반 고흐 에세이다,

빈센트 반 고흐의 발자취를 따라 떠났던 10년의 여행과 글쓰기,다.

 

빈센트 반 고흐 그리고 정여울

 

그간 빈센트 반 고흐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작품도 한 점 집에 걸려있다. <아리리스>, 물론 진본은 아니라는 것, 밝혀둔다.

 

그와 관련된 책도 반 고흐, 영혼의 편지, 빈센트 그리고 테오를 읽었으니 이번이 세 번째 책이다.

 

정여울의 책도 이번이 세 번째다. 인문 교양서 헤세로 가는 길, 공부할 권리를 읽은 적이 있다.

 

그래서 정여울이 본 빈센트가 궁금해진다. 내가 좋아하는 빈센트를 정여울은 어떻게 말하고 있을까?

 

이 책의 내용은?

 

작가 정여울의 반 고흐 에세이로, 정여울이 빈센트 반 고흐의 발자취를 따라 떠났던 10년의 여행과 글쓰기를 기록한 책이다.

 

대단한 일이다. 빈센트 반 고흐를 10년이나 생각하고 찾아다녔다니. 그 정성이 갸륵하다. 해서 이 책에 쓴 글들은 모두 한 글자 한 글자 모두다 간절함의 기록이다.

 

저자의 그런 심정 몇 가지 추려 옮겨본다.

 

<누군가의 예술 세계를 이렇게 꾸준히, 한 해도 쉬지 않고 아끼고 사랑해본 적이 없었다.>(5)

<나는 빈센트와 조금이라도 관련된 모든 곳에 가보고 싶었다.

빈센트의 삶과 관련된 장소들을 찾아 매해 여행을 떠나면서, 빈센트의 그림뿐만 아니라, '빈센트라는 사람'과 조금씩 가까워지는 듯한 느낌이 좋았다.> (6)

 

이 책을 읽는 나도 덩달아 빈센트에 대하여 조금씩 가까워지는 느낌, 역시 들었다.

또한 빈센트가 문학작품에 대한 관심이 남달랐다는 점도 그를 좋아하게 만든 하나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나의 여행과 문학, 심리학이 만나는 교집합에서 빈센트가 눈부시게 환한 빛의 중심으로 타오르고 있었다. 빈센트의 편지는 그 자체로 내게 아름다운 문학 작품으로 다가왔다. 빈센트가 셰익스피어는 물론 디킨스나 졸라 같은 문학의 거장들을 깊이 이해하고 그 문학적 감성을 그림 속에 품어내려 했다는 사실은 빈센트에 대한 내 사랑을 더욱 부채질했다. 빈센트의 예술 작품은 단지 그림이 아닌 아름다운 문학이었고 치열한 심리학이었으며 열정적인 여행이기도 했다. > (6-7)

 

빈센트가 문학에 대해 가진 관심에 대한 저자의 기록은 이어진다.

 

<빈센트는 다양한 세계문학 작품들을 닥치는 대로 읽었다. 특히 영국과 프랑스, 독일 문학에 깊은 감화를 받았다. 빈센트의 편지에서 렘브란트, 밀레, 들라크루아 못지않게 자주 등장하는 사람들이 바로 졸라, 셰익스피어, 디킨스다. 빈센트는 문학작품을 읽으며 세상에 대한 풍부한 감성과 지식을 키웠고 자신이 가지 않은 길에 대한 호기심과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는 감수성을 길렀다.

빈센트는 셰익스피어에게서 인간 심리의 복잡 미묘함을 배웠고, 디킨스에게서 고통받는 노동자들의 삶을 배웠으며, 졸라에게서 농부들의 애환을 깨달았다,> (179)

 

그렇다면 빈센트는 단지 그림만 그려내는 화가가 아닌, 진정한 예술가였음이 분명하다.

그런 빈센트를 저자는 어떤 식으로 바라보고 살펴봤을까?

목차의 제목이 저자의 빈센트에 대한 자세를 알려준다.

 

1. 빈센트가 말을 걸어온 순간

2. 관계의 상처에서 구원받지 못한 영혼

3. 세상에서 잃어버린 나 자신을 찾는 길

4. 내게 보이는 색깔로 세상을 그리는 일

5. 온 세상이 나를 막아서더라도

 

몇 개의 그림 소개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영원을 향해 다가서는 것이다’(140)는 빈센트의 말을 새기면서 그의 그림을 본다. 보고 또 본다. 그 중에 몇 개 소개한다.

 

<영원의 문>

얼굴 표정을 전혀 보여주지 않고도 슬픔과 절망을 남김없이, 자신도 모르게 드러내 보이는 인간의 몸짓을 그려낸다. (99)

 

<슬픔>

그는 대상을 굳이 아름답게 그리지 않는다. 이 그림에는 대상을 바라보며 눈시울이 뜨거워졌을 빈센트의 젊은 영혼이 생생하게 투영되어 있다. (103)

 

<씨 뿌리는 사람>

농부는 단지 씨앗이 아니라 자신의 꿈을 이 땅에 흩뿌리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 자연을 넘어 환상의 자연, 몽환의 자연으로 확장된다.(233)  

 

다시, 이 책은?

 

우리는 빈센트에 대하여 한 면만 알고 있는 것은 아니었을까. 이 책을 통하여 빈센트의 삶을 이해할 수 있었다. 누구에게도 제대로 사랑받지 못한 상처를, 화단과 주류 화가로부터 철저하게 외면받고 인정받지 못하던 시절도, 비난받고 무시당하던 그도, 제대로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의 그림이 천재성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는 것 역시 알 수 있었다.

 

또한 정여울이 보여주는 방법대로 다시 한번 빈센트의 그림들을 감상하면서, 빈센트의 예술 세계로 한 걸음 더 깊게 들어설 수 있었다.

 

하나더, 사진 또한 좋다.

그림을 찍은 사진 말고 현지의 모습을 찍어서 그림과 대비하여 보여주는 페이지들은 정여울의 여행이 빛을 발하는 순간이다.

예컨대, 42- 43쪽에 실려있는 <밤의 카페 테라스>. 왼쪽에는 그림, 오른쪽에는 현지 모습이 사진으로 나타나고 있다. 113쪽의 프랑스 오베르쉬르우아즈의 밀밭 사진 역시 그림과 현장의 모습을 대비하며 볼 수 있다.

 

88쪽의 사진, 네델란드 누에넨에 있는 <감자 먹은 사람들>의 동상은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귀한 자료라, 이 책과 함께 사진을 찍은 이승원의 이름을 기억해두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