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와 달과 별이 뜨고 지는 원리 - 블랙홀 박사 박석재가 그림으로 설명하는 천체의 운동
박석재 지음, 강선욱 그림 / 동아엠앤비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와 달과 별이 뜨고 지는 원리

 

이 책은?

 

이 책의 제목은 해와 달과 별이 뜨고 지는 원리, 부제는 <블랙홀 박사 박석재가 그림으로 설명하는 천체의 운동>이다.

 

저자는 박석재. 이 책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서도 저자를 자세히 소개할 필요가 있겠다.

일반 독자들이 천문학자들을 접하긴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니까.

<저자는 서울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 대학교에서 블랙홀 천체물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다수의 천문학 서적과 소설을 집필하는 등 천문학 대중화에 헌신했고 2005년부터 2011년까지는 한국천문연구원 원장도 역임했다. 저서로는 블랙홀이 불쑥불쑥, 이공대생을 위한 수학특강, 개천혁명, 소설 개천기시리즈 등이 있다.>

 

그런 저자가 쓴 책이니만큼 일단 믿고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내용은?

 

이 책은 천구와 해와 달, 별의 운동을 통해 천체가 어떻게 움직이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해와 달과 별이 뜨고 지는 원리를 다 아는 것처럼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게 웬일?

읽으면 읽을수록 어려워지는 느낌이다.

설명이 어려운 것은 아닌데, 혼돈 가운데로 들어가는 기분이 든다.

그래서 정신을 차리고 차분하게 다시 한번 읽었다.

 

알고 보면 간단하다. 너무 간단해서 소홀히 여겼는지도 모른다.

해서 저자의 이런 말 명심해야 한다.

<천구란 바로 우리 눈에 둥글게 보이는 하늘을 말한다. 천구를 이해하려면 우선 몇 가지 천문학 용어를 반드시 익혀야 한다.>(10)

 

몇 가지 천문학 용어를 반드시 익혀야 한다, 라는 말에 밑줄을 긋고 새겨야 한다.

해서 책을 읽으면서 용어 위주로 개념 정리를 해 보았다.

 

천구란 바로 우리 눈에 둥글게 보이는 하늘을 말한다. (10)

 

천구상 천체의 위치를 지정하려면 우리가 지구상 어느 한 지점을 나타낼 때 위도와 경도를 쓰듯이 좌표계를 쓰면 편리하다. 지평 좌표계는 방위각과 고도로 표기된다.

방위각이란 남점으로부터 서쪽으로 재어간 천체의 각거리를 말한다. (12)

 

천구의 일주운동 :

지구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하므로 천구는 상대적으로 동쪽에서 서쪽으로 하루에 한 번씩 회전하게 된다. 천구의 일주운동이란 바로 이러한 천구의 상대적 시운동을 말한다. (26)

 

천구의 연주운동 :

지구는 자전만 하는 것이 아니라 1년에 한 번씩 해를 공전하기도 한다. 따라서 지구의 공전에 따른 천구의 상대적 시운동이 있게 된다. 이것을 천구의 연주운동이라고 한다. (36)

 

일식은 해와 지구 사이에 달이 들어가서 해를 가리는 현상이다. (84)

 

월식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 속에 들어가 달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가려지는 현상이다. (86)

 

행성 :

태양계를 이루는 작은 천체 중 해를 공전하는 우리 지구와 같은 것들은 행성이라고 부른다. 행성은 지금까지 밝혀진 것으로서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 8개가 있다. (94)

 

행성중 지구보다 해에 더 가까운 수성과 금성을 내행성이라 하고, 지구보다 해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을 외행성이라 한다.(95)

 

은하수 :

해와 같은 별들이 약 1천억 개가 모여 이루는 집단을 은하라고 한다.(116)

우리 은하가 우리 눈에 띠처럼 길게 보이는 것을 은하수라고 한다. 은하수는 당연히 궁수자리 근처에서 가장 두껍고 휘황찬란하다. (118)

 

천체와 관련된 다른 것들

 

이밖에도 천체와 관련된 것으로, 경복궁 근정전에 있는 일월오봉도(104)하늘의 모습을 순서대로 분야별로 그린 그림이라는 뜻의 천상열차분야지도(113)도 소개하고 있다.

 

부록으로 <간단한 수식으로 이해하는 우주>라는 항목을 통해

1. 뉴턴의 운동 법칙 /2. 중력 /3. 천체 역학에 대해 설명해주고 있다.

 

특히 기록하고 싶은 것들

 

행성의 이름과 관련해서, 이런 것 기록해 놓고 싶다.

우리가 행성을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등으로 부르고 있는데, 이는 영어 이름과 전혀 상관이 없다. 특히 수성등 5개의 행성은 맨눈으로도 잘 보이기 때문에 동서양에서 독자적으로 연구돼왔다. 해서 동양과 서양에서 부르는 이름은 각각이고, 따라서 이름에 연관은 없다는 것이다. (97)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영어 이름 머큐리(mercury) 가 우리말로 번역될 때 수성(水星)이고, 비너스(venus)는 금성(金星)이지만, 아는 것처럼 mercury는 수은이고, venus는 여신 이름이다.

이름을 지을 때, 서로 상관관계가 전혀 없이 지은 것이다  

 

다시, 이 책은?

 

책의 구성이 이해를 돕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내용을 읽는 즉시 QUESTION을 통해 자기가 얼마나 이해했는지 확인할 수 있고, EXERCISE를 통해 다시 한 번 내용을 반추할 기회를 갖도록 QUESTIONEXERCISE 항목을 편성해 놓았다.

 

실상 그 두 개의 항목이 이 책을 읽는데 도움이 되었다. 한 챕터를 읽고 나면 연습문제를 풀어보면서 얼마만큼 알고 있는지를 확인했고, 이해도를 측정해 보니, 틀린 항목이 의외로 많아 두 번 읽을 수밖에 없었다. 

 

그만큼 독자들이 철저하게 이해하도록 편성되었다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