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키가 작아, 그래서 뭐가 문제야? - 사춘기, 은밀한 고백 01
야엘 아쌍 지음, 박선주 옮김 / 해와나무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미래의 공간을 채울 것들이 너무도 많다는거 아니?]

 

사춘기를 겪으면서 크고 작은 것들이 아이들에게는 큰 짐이 되기도 한다. 그 중 하나가 외모라고 하면 어른들은 피식 웃을 지도 모른다. 실제로 자신들이 사춘기를 거칠 당시에는 그것들이 작은 문제가 아니었음에도 말이다. ㅎㅎ

제목에서도 느껴지지만 책 속의 주인공은 키가 너무 작은 소녀이다. 그게 뭐가 문제가 되냐고 당당하게 말하지만 책 속에서 만나는 소녀는 결코 외모의 문제에 대해서 자유롭지는 않다. 나 역시 너무도 작은 키에 늘 1번을 달고 살면서 컴플렉스가 없었다고 하면 거짓말이다. 늘 조금만 더 컸으면 하는 마음이 늘 자리잡고 있었다. 주인공 역시 작은 키에 불만을 가졌고 주변에서 스치듯이 하는 말에 크고 작은 상처를 받으면서 자랐다. 만약 이 책이 그저 외모는 문제가 안된다는 가르침만을 전하고자 했다면 마음으로 수긍이 가지 않을지 모른다.

그러나 이 책에서 찾은 색다른 점은 이야기가 작가의 머릿속으로 지어낸 완전한 허구가 아니라는 점이다. 실제로 이 책의 작가인 야엘 아쌍의 자전적인 이야기라고 한다. 실제로 작은 키로 학창시절의 외모로 스트레스를 받았던 자신의 이야기가 고스란히 녹아있고 그런 가운데 절망?하기 보다는 긍정적인 사고로 작가가 된 지금 그 이야기를 들려주니 말이다.

노력해도 달라지지 않는 것들이 있다. 그럴 경우에는 절망하기 보다는 다른 방향으로 생각하는 것이 더 나을 때가 있다. 작가가 늘씬한 키에 수려하나 외모를 가졌다면 지금 글는 사람이 아닌 탑모델이 되었을 수도 있다. 문제는 자신이 내는 내면의 목소리에 귀기울이고 외부로 채워지는 만족감이 아닌 내면이 채워지는 만족감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작가가 사춘기 시절에 "난 키가 작아. 그래서 뭐가 문제야?"라고 말하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그러나 조금씩 자기 마음을 채우고 미래를 준비하면서 작가가 된 지금 자신의 시절을 돌아보면서 좀더 긍정적인 마인드로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는 것 같다. 우리 아이들도 성장하는 과정에서 조금은 컴플렉스가 될 수 있는 일들 자신의 긍정적인 마인드로 잘 극복해 나가기 바란다. 외모보다도 더 중요한 것들로 채울 미래의 공간이 너무도 크기에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