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좌표 - 돈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생각의 주인으로 사는 법
홍세화 지음 / 한겨레출판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생각의 좌표‘
6개월 전인가 리처드 니스벳의 <생각의 지도>를 읽었다.
동. 서양의 사고구조의 차이점을 명쾌하고 재미있게 글을 써 주변 분들께 추천도 했었다.
이 책의 제목도 얼추 비슷해 내심 기대도 많이 하고 읽었다.


홍세화 님은 <나는 빠리의 택시 운전사>란 책으로 많이 알려진 분이다.
글의 앞 2개를 읽고 속으로 ‘감탄사‘가 나왔다.
하지만 그것이 끝이었다. 뒷부분은 모두 대한민국의 모습을 세세하게 묘사하였다.
물론 저자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한다. 그리고 프랑스 많은 면들은 내가 존중한다.
하지만 한국의 어두운 면들이 계속 나열되며 나는 속독을 하기 시작했다.
나는 페이퍼 신문을 거꾸로 읽는다.
맨 앞부분은 거의 정치 모습이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의 어두운 면도 좋지만 중간중간 밝은 면도 넣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아래 3개의 발췌문만 해도 충분히 읽을 가치가 있다고 본다.
훌륭하신 분의 글을 폄하한 것 같아 송구스럽기도 하다.

시간이 나면 다른 저서들도 읽어봐야겠다.
소중한 글을 써 주신 홍세화 님께 감사드린다.
2019.12.2.월


내 생각은 어떻게 내 것이 되었을까? 사람이 ‘생각하는 동물‘임을 모르는 이는 없다. 그런데 ‘내가 생각하는 바‘들이 어떻게 내 것이 되었는지 묻는 사람은 많지 않다. ‘내가 지금 갖고 있는 의식세계‘는 내가 태어났을 때 분명 비어 있었고 ‘내가 지금 생각하는 바‘들도 내가 태어났을 땐 없던 것들이다. 각자 살아가면서 생각을 형성했고 의식세계를 채웠다.(중략) 따라서 ‘지금 내가 생각하는 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물음은 자기성찰의 출발점이다.
p.15-16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 주체적 자아, 진정한 자유인을 형성하는 데 있다면 학생들에게 독서와 토론, 직접 견문과 성찰의 기회를 갖게 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오로지 암기와 문제풀이 능력으로 학생들을 줄 세우는 한국의 제도 교육은 윤리적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학생들의 일상에서 폭넓은 독서, 열린 토론, 직접 견문, 성찰의 기회를 완벽하게빼앗고 있기 때문이다.
p.26


‘왜?‘라는 질문이 사라졌다는 것은 대화와 토론이 사라졌다는 것을 뜻한다. 가령 한국의 가정 중에 식구들끼리 인간과 사회에 관해 대화하고 토론하는 가정이 얼마나 될까? (중략) 정치가 합리적 보수와 건전한 진보 사이의 경쟁 게임이 되기 위해서도,가정 폭력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각 가정에서 ‘왜?‘라는 질문을 살려야 한다.
p.70-71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uoky 2019-12-02 20: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감명깊게 읽었던 책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