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천 사기56 - 본기, 세가, 열전, 서의 명편들 현대지성 클래식 9
사마천 지음, 소준섭 옮김 / 현대지성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한 달여간 이 책에 흠뻑 빠져서 지냈다.
역시 불멸의 명저 史記 !

2.
학창시절부터 사기열전 등을 탐독하여 왔다.
처음 읽은 것은 동서문화사의 <사기열전> 1,2.(최인욱, 김영수 역)이었고,
다음으로는 정범진 교수등이 사기 전역을 하여 까치 출판사에서 출간한 사기본기, 사기표,서, 사기세가 상, 하, 사기열전 상 중 하 등 7권이고
또한 이성규 교수가 편역한 《사기》(서울대학교 출판부) 등을 읽었다.
물론 김원중 교수의 사기열전도 소장하고 있다.

동서문화사판은 여러차례 읽었고, 까치판은 처음 전체를 읽은 것이라 기억에 남는다.
이성규 편역판은 깊은 학문적 연찬을 바탕으로 편역한 것이라 신뢰가 갔다.

3.
그러나 이번 현대지성사 소준섭 편역판이 사기의 전체 매력을 온전히 느낄 수 있는 결정판이 아닐까 한다.
통상 사기열전만을 읽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그 흥미진진한 항우 본기 및 소하 등을 놓치게 되니 아쉬울 수밖에 없다.

4.
이 책은 본기, 세가, 열전, 서 등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취합하여 사기의 진수를 만끽할 수 있도록 하고있다.

번역은 유려하여 가독성면에서 그간 출간된 것중에 최고라고 생각된다.

5.
개인적으로 이번 번역서를 읽으면서 마음에 드는 문장은 사기 원문을 찾아 함께 읽어보는 즐거움이 쏠쏠했다.
(간혹 각주로 유명문구 중 원문을 제시하고 있기는 하지만 부족하다)

다시한번 사기의 맛에 흠뻑 젖을 수 있는 즐거운 독서시간이었다.

6.
단 이 책의 아쉬운 점도 몇가지 있다.

첫째, 춘추전국시대 및 진, 초, 한 시대의 상세한 지도가 없다.

둘째, 책속 그림도 네이버 등에서 대충 긁어서 붙인 듯, 화질이 허접하기 그지없다.

셋째, 춘추전국시대는 나라별, 왕들의 연표가 제각각이므로 서기연대를 병기한 별도의 연표가 있어야 했다.

7
오식, 오역 등

24쪽 각주 15) 중 불사토양(不辭土壤)으로 되어야 할것을 불양(壤)토양으로 오식

38쪽, 각주 311) 중 2.5m는 2.5km의 오식

108쪽 하단의 "높은 곳에 큰 도마를 설치하여~~"부분은 오역인듯!
원문 高俎(고조)는 "높은 대(臺)라는 뜻이다.
조(俎)는 도마라는 뜻도 있지만 높은 대라는 뜻도 있다.
항우가 높은 대를 설치하고 붙잡은 태공(유방의 부친)을 그 위에 세워놓고 유방을 협박하는 장면이다.
따라서 도마를 설치하여 부분은 높은 대를 설치하여 로 수정해야!

8.
뭐 이런 사소한 흠은 있지만 이 책을 읽는데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죽기전에 반드시 읽어야 할 책 두 권을 꼽는다면,
박경리 선생의《토지》와 사마천의 《사기》!

사기를 읽기원하는 분들에게 이 책 소준섭 편역의
《사마천 사기 56》을 강추하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십팔사략 - 쉽게 읽는 중국사 입문서 현대지성 클래식 3
증선지 지음, 소준섭 옮김 / 현대지성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번역도 유려하고 읽기도 매우 수훨했다.
책표지, 장정도 깔끔하고 품위있다.

2.
20~30여년전 박영문고판 <십팔사략> (上, 中, 下 )를 읽은적이 있는데, 번역과정에서 원서의 방대한 분량의 책을 축약하다보니 글의 맥락, 문장등이 매우 거칠고 조잡하여 별 흥미를 느끼지 못했던 기억어 있다.
(십팔사략 이란 책이 사마천의 사기 ~ 탁극탁의 송사 등 18권을 축약한 것인데 이를 또다시 문고본으로 축약했으니~~)

3.
이번 소준섭의 편역본 십팔사략은 매우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간만에 더없이 행복한 역사여행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변혁 2 : 19세기의 역사풍경 한길그레이트북스 177
위르겐 오스터함멜 지음, 박종일 옮김 / 한길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순한 사실(史實)의 집적(集積)이 아니라 번득이는 통찰력과 깊이 있는 사안(史眼)으로 핵심을 꿰뚫는 예리한 시각이 빛나는 책이다.

도널드 서순의 《유럽문화사》가 폭넓은 사실을 쉽게 서술하고 있어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이지만 깊이와 통찰력이 부족한 게 흠인것과 비교된다.

그러나 두 책 모두를 읽을 수 있는 우리들은 얼마나 행복한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8 - 강물은 그렇게 흘러가는데, 남한강편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8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시 유홍준의 필력은 대단하다.

그는 따분한 역사유물의 따분한 해설에 그치지 않고 독자들이 그와 함께 답사여행을 가는 듯한 실감을 느끼게 하는 글을 쓰고 있다.
책 속에 간간히 등장하는 강만길, 신경림 선생의 육성이 들리는 듯하다.

1993년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첫째권을 읽고 감동했던 추억이 엊그제 같은데 어언 30년이 지났다니 세월의 무상함이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인의 시대 - 명 말 중국 예수회 이야기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조지 듄 지음, 문성자.이기면 옮김 / 지식을만드는지식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우 흥미진진하고 깊이 있는 책이다.

학창시절부터 익히 들어왔지만, 한 걸음 더 깊이 들어가지 못했던 마테오 리치 아담 샬 등 예수회 소속의 신부들의 중국 내 선교 이야기가 내밀한 부분까지 깊이있게 또한 박진감 넘치게 묘사되고 있다.

얼마전 읽은 조영헌의 《대운하 시대》를 통해 알게되어 구입했는데, 기대 이상으로 즐거운 독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