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통론
쟉끄 제르네 지음, 이동윤 옮김 / 법문사 / 1997년 9월
평점 :
품절


1.
학창시절 형편상 구입할 수 없었고, 졸업하고 직장장생활 초기에는 아직 책이 판매되고 있어 구입할 수 있었음에도 차일피일 미루다 막상 구입하려했을 때에는정작 절판되어 구입할 수 없었다.

2.
그 후 헌책방을 통해 이십여년간 구하려 노력했는데, 드디어 얼마전 알라딘 헌책방을 통해 어렵게 이 책을 구입하게 되었다. 무려 정가의 두배가 넘는 금액으로.

3.
이 책은 출간된지 수십년이 지난 책임에도 중국사 전문서적에서 빠짐없이 인용되고있는 명저로, 실제 다 읽고보니, 명불허전!
시각이 넓고 깊다.
프랑스 서적은 글을 어렵고 모호하게 쓰는 경향이 많은데, 이 책은 비교적 명료하게 서술되고 있는 느낌이다.

4.
이 책은 원서가 1970년대에 출간되었고 번역 초판은 1985년이었으니 벌써 45년전이다.
절판된 책을 다시 그대로 출간하는 것은 무리일테니, 전문가에 의해 다시 새롭게 번역되고 적절한 번역자 주가 추가되어 출간하면 어떨까한다.

중국사학계에 그런 역량과 의지가 있는지가 관건이겠다.

5.
책은 꼼꼼히 번역된 느낌이지만, 사소한 실수 몇가지를 옥의티로 적어보겠다.

● 11쪽 14행의 '경작법을 도습하고~~'부분은 답습하고의 잘못인듯
혹시 답습(踏襲)을 도습이라고 잘못 본건 아닌지.

● 20쪽 8행의 '황제인 傳儀'라고 적고 있으나 전의가 아니라 부의(푸이)이므로 傅儀 또는 溥儀라고 적어야 함

● 42쪽 밑에서 10행의 '《詩經》 古風篇'이라고 쓰고 있으나 시경에는 고풍편이라고는 없다. 國風篇이라고 수정해야한다.

● 47쪽 3행의 왕의영의 사망년도가 1919년이라고 되어있으나 1900년의 오기

● 115쪽 밑에서 12행 '발결'은 발견의 오기

● 127쪽 7행의 거역목은 거여목의 오기.

● 219쪽 밑에서 9행 緡錢(민전)이라고 써야할것을 실사변에 저물 혼자로 이루어진 글자로 착오표기

● 219쪽 밑에서 5행의 '신라 출신 장군 高仙芝'는 고구려 출신 장군의 오기

● 594쪽 연표 죄측 하단의 분서갱유 한자를 楚書坑儒로 잘못 포기하고 있다 焚書坑儒가 맞는 표기

● 위 쪽 우측 ㅡ174년조에서 재상 가의라고 쓰고 있으나 가의는 재상이 된적이 없다. '박사'로 고쳐야 한다.

6.
몇몆 옥의 티를 적어봤지만, 이것은 사소한 실수일뿐,
간만에 즐거운 독서시간이었다.

참고로 이 책 사진이 알라딘에 없던데, 참고로 올려둔다.



사족 : 역자 이동윤에 대한 에피소드를 보려면 심재훈의 <고대중국에 빠져 한국사를 바라보다> - 푸른역사(2016) 중 
 "단국대 동양사 연구 2 : 이동윤 교수 " 부분을 참고하면 된다
(150 ~156쪽)      

(2021. 8. 15. 부기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함무라비 법전 Code of Hammurabi (영한대역)
작자미상 지음 / 유페이퍼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대체 이거 국문번역을 누가 한 것인가? 이혼을 리혼이리고 표기하고 장기부재를 장기불재라고 표기하고 있는데, 번역의 신뢰가 확 떨어진다. 좀더 꼼꼼히 읽어볼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 미국과의 첫만남 - 한국의 대미개국사론
송병기 지음 / 고즈윈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내용은 중복되고 논리는 헐겁다.

1장 2장 내용을 그 다음 장에서 거의 비슷하게 거듭거듭 반복하고 있다. 아무리 기 발표된 논문을 모아 출간하는 것이라도 중복된 것은 빼고 미흡한 것은 채워서 한 권의 책을 출간해야하지 않겠는가!

2.
저자와 아울러 편집자의 무성의, 게으름을 절감할 수 있는 부분이 일본 인명, 지명을 그대로 한자음으로 표기하고 있는 부분이다.

1970년대, 80년대 경에는 그러한 것이 통례였으나 지금은 21세기 아닌가!
이 책이 2005년에 출간되었음을 감안할 때 이는 너무도 변명의 여지가 없는 것이다.

아래 몇 가지 사례를 들고, 일본음을 병기해 둔다.

삼유례(森有禮 모리 아리노리)
정상형(井上馨 이노우에 가오루)
근등진서(近藤眞鋤 곤도 마스키)
화방의질(花房義質 하나부사 요시모토)
굴본예조(掘本禮造 호리모토 레이조)

3.
2018. 9. 15. 선생께서 별세하셨다는 부고를 신문에서 보았다.
근대한중관계사연구 분야에 큰 족적을 남기시고, 특히 독도 문제에 중요한 업적을 이루신 선생의 명성에, 이 책은 아쉬움이 적지 않은 책인듯 싶다.

선생께 결례를 범하였으나,
늦었지만 삼가 선생의 영전에 조의를 표합니다.
80년대 선생의 강의를 들었던 이름 없는 불민한 제자로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중국편 3 : 실크로드의 오아시스 도시 - 불타는 사막에 피어난 꽃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 지음 / 창비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중국 1, 2.편에 이어 이 책 3편도 출간 안내문자가 오자마자 주문해서 며칠간 꿀같이 달게 읽었다.

표지사진의 쿠마라지바 동상의 섬세한 물결 문양의 촉감이 느껴지는 듯 책을 읽는 내내 감동적이었다.

2.
역시 유홍준의 필력은 여전하다.
자신만의 고유한 문체를 가진다는 것은 얼마나 대단한 일인가!
고 리영희 선생님, 고 김현 등 소수의 사람만이 저자가 누구인지 모르고 읽어도 단박에 누구의 글인지 알아챌 수 있을 정도의 독특한 향이 배어있는 글을 쓰는데,
유홍준도 그렇다!

책을 읽는 내내 즐거웠다.

3.
이 책에서 유홍준이 주요하게 인용하고 있는 여러 책들,
즉 스벤 헤딘의 <마지막 탐험가>, 정수일의 <실크로드 문명기행>, <초원 실크로드를 가다>, 나가사와 가즈토시의 <동서문화의 교류>,<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 피터 홉커크의 <실크로드의 악마들>, 발레리 한센의 <실크로드 : 7개의 도시> 등 여러 책을 이미 읽은바 있지만,

이러한 책들의 내용도 유홍준의 깊은 안목과 섬세한 눈을 통해 충분히 융합, 소화되어 새롭고도 생생하게 빛을 발하고 있다.

4.
이번 3편으로 실크로드 기행은 끝이 났지만, 부디 바라건대 앞으로도 죽 건강하시어 주옥같은 중국문화 답사기가 이어지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무를 심은 사람 (리커버 특별판)
장 지오노 지음, 최수연 그림, 김경온 옮김 / 두레 / 2020년 4월
평점 :
품절


짧고 평이하지만, 내용은 깊이있고 감동적이다.

자연속에서 살아가면서도 그 자연의 파괴에 미친듯이 몰두하며 오만하게 군림하고 있는 인간들이 언제쯤 그 어리석음을 깨달을 수 있을지.

어느때에 가서야 나무를 심는 마음을 회복할 수있을지 절망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