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랑스 아이처럼 - 아이, 엄마, 가족이 모두 행복한 프랑스식 육아
파멜라 드러커맨 지음, 이주혜 옮김 / 북하이브(타임북스) / 201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친구들이 엄마가 되어가는 과정을 보며, 그리고 나도 엄마가 될 수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니 '부모'라는 존재도 아직 미성숙한 어른이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자라나면서는 부모의 실수를 보면 용납이 되지 않고, 주변 어른들의 이야기를 보면 어떻게 부모가 저럴 수 있느라는 생각을 했었지만, 알고보면 그 부모들도 지금의 나와 같았고, 그랬다면 충분히 그럴 수 있었겠다며 이해가 됐다. 단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육아의 세계에서 각양각색 수많은 남들의 조언들과 내 개인적인 신념으로만 아이를 키워야 한다면 그것이 얼마나 혼란스럽고 어려운 일일까, 이 나이가 되니 이해되는 것들이 있었다.
그 지점에서 <프랑스 아이처럼>의 저자의 이야기는 많은 위로와 용기를 주는 책이었다. (모든 부모가 그렇지만) 그녀 역시 첫 아이를 낳고 2시간에 한번씩 깨 아이 젓을 물리며 정신없이 키웠고, 아이가 조금 자라 휴가를 떠나서는 바다를 바라보며 하는 우아한 저녁은커녕 전쟁터같은 아이 밥먹이기를 하느라 다시는 휴가를 나오지 않을거라 다짐했다. 그런데 여기서 재미난 것이 있었다.
저자는 미국에서 태어나 미국식 양육방식에 익숙한 미국인이었는데, 결혼을 하며 프랑스에 와서 살게 되었다. 저자가 의문을 품은 건 레스토랑에서 밥을 먹을 때면 자기만 아이 때문에 허둥대고 자기 아이만 울고불고 난리였지, 다른 프랑스 가족들은 너무나 여유롭게 앉아 자신들의 식사를 즐기고 있었다는 것이었다. 심지어 아이조차 말이다. 그래서 그녀는 프랑스 양육방식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다. 대체 미국 아이들과 무엇이 다른지, 프랑스 엄마들은 어떻게 아이들을 키우길래 아이들이 저토록 얌전한지, 저자이자 한 아이를 둔 엄마의 호기심으로 써내려간 책이 바로 이 책이다.
출산 직후부터 아이들이 밤새 잘 자기 시작했다고 말한 알렉산드라는 당연히 아기들이 울자마자
바로 달려간 적이 없다고 대답했다. 때때로 5~10분 기다렸다가 안아준 적도 있다.
그녀는 아기가 수면 사이클에서 잠시 깬 건지 배가 고픈 건지 기저귀가 젖어서인지,
이도저도 아니라 그저 불안해서 우는 건지 파악하고자 했다.
_ 74쪽 중에서
몇가지 인상적인 내용을 소개하자면 이런 거다. 우선 프랑스 아이들은 생후 4개월이면 깨지 않고 12시간을 내리잔다는 것이다. 보통 신생아의 경우 2시간에 한번씩깨고, 돌이 되어서도 밤 마다 깨는 아이 때문에 엄마가 녹초가 되기 마련인데 프랑스 아이들은 밤에 잠을 잘 잔다는 것이다. 이건 아이들이 그렇게 '길들여지기' 때문인데, 프랑스 엄마들은 아이가 울면 바로 달려가지 않는다. 아이 스스로에게 울음을 멈추고 다시 잠들 수 있게 시간을 주는 것이다. 신기한건 그렇게 하다보면 아이가 때더라도 곧 스스로 잠이 든다는 것이다.
또 배가 고플 때마다 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어느정도 아이가 크면 규칙적인 식사를 줌으로써 부모들과 같이 식사를 할 수 있도록 교육시킨다는 것이다. 어른들과 같이 식사를 할 수 있어야 부모도 시간 조절을 할 수 있고, 모두가 식사를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프랑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도 같은 시간대에 밥과 간식을 제공하면서 다 같이 아이의 식습관을 바로잡아주고 있다. 아이들은 부모의 전유물이 아니고 독립적인 개체라는 생각 때문에 거의 모든 부모가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기며, 대부분의 엄마가 안심하고 직장생활을 한다. 심지어 4살 때부터는 부모를 떠나 일주일간의 여행을 보내며 독립성을 부여해주기도 한다고 한다.
물론 이 모든 것은 프랑스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일 수도 있다.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사회적 인프라가 갖춰져 있고, 아이와 부모는 독립적인 개체라는 프랑스 전반에 인식이 깔려 있기에 그렇게 아이를 키울 수 있고, 어쩌면 그 사회에서는 당위성이 아닌 자연스럽게 그런 방식으로 아이를 키울 수 있었을거다. 하지만 그 모든 것을 차치하더라도 이 책을 우리나라 엄마들에게 권하고 싶은 이유는 딱 하나다. 엄마도 존중받아야 할 한 사람이고, 여자이며, 사회적 존재라는 것.
대부분의 엄마들은 죄책감과 미안함에 시달린다. 일하는 엄마는 일하는 엄마대로 아이와 함께 시간을 보내주지 못해서, 아이만 보는 엄마는 아이만 보는 엄마대로 더 많이 챙겨주지 못해서 말이다. 하지만 프랑스 엄마들은 이런 상황에 공개적으로 이렇게 의문을 던진다고 한다. "아이에게 올인하면, 엄마 자신의 삶의 질은 누가 책임지느냐"고. 세상에 완벽한 엄마는 없으니 스스로를 나쁜 엄마라고 탓할 필요는 없으며 그저 내가 처한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면 아이도, 엄마도 행복해지는 거다. 그리고 행복한 엄마의 아이는 그 자체만으로 행복을 느끼는 건 분명하다. 행복한 엄마를 보며 불행을 느끼는 아이는 없을테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