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뱅상 식탁
설재인 지음 / 북다 / 2025년 1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설재인 작가의 장편소설 《뱅상 식탁》을 읽었다. 뱅상 식탁을 운영하는 '빈승'이 손님들과 벌이는 이야기다. 서로 벽이 있어 대화가 들리지 않는 네 테이블에 모인 여덟 명이 죽음 앞에서 본색을 드러내게 된다. 빈승은 손님들의 대화를 몰래 들으며 이들이 어떤 추악함을 숨기고 있는지 은밀하게 캐낸다.
'수창'과 '애진'은 나이가 꽤 있는 대학원 동기로 소설가를 꿈꾼다. '정란'과 '연주'는 어딘가 일그러진 모녀 사이로 구속과 반항의 길목에 놓여있는 상황이다. '상아'와 '유진'은 어릴 적 단짝으로 서로의 입장과 위치가 바뀐 채 만났다. '성미'와 '민경'은 직장 선후배로 가까운 듯 불편한 사이다. 대화가 무르익던 중 총성이 울리고 빈승이 테이블 당 한 명만 살아남을 수 있다고 말한다.
무척이나 흥미로운 소재였다. 사람은 누구나 사회적 가면을 쓰고 살아간다. 편한 자리에서는 그 껍질을 한 꺼풀 벗겨내기도 한다. 그러나 타인이 존재하는 한 모든 가식을 집어던지는 일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생사가 달린 상황에서는 어떨까. 그때도 최소한의 침착함을 유지할 수 있을까. 나 역시 생존을 향한 추한 발버둥을 치게 되지 않을까 상상해 보았다.
예전에는 나이를 먹으면 인간관계를 성숙하게 풀어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고 보니 성숙하기는커녕 퇴보하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되기도 한다. 더 폐쇄적으로 변하고 다른 사람을 생각하는 마음도 작아진 것 같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소설에서도 각종 관계가 어떻게 분열되었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평범한 사람도 상대에 따라서 얼마든지 악인이 될 수 있다. 인간에게 가면이 그동안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체감이 되는 이야기였다.
사실 이 작품을 고르게 된 계기는 작가의 전작 《세 모양의 마음》을 너무 따뜻하게 읽었기 때문이었다. 훌륭한 청소년 문학을 찾게 되어 기쁜 마음이었는데 작가가 이렇게 스릴러나 블랙코미디도 잘 쓰는지는 미처 몰랐다. 작가의 다른 얼굴을 본 기분이었다. 또 어떤 다른 얼굴을 가지고 있을지 궁금하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27/pimg_745654179458502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