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사회 - 증오는 어떻게 전염되고 확산되는가
카롤린 엠케 지음, 정지인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혐오사회'라는 말을 들을 때 어떤 생각이 드는가? 나와는 전혀 상관없는 이야기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혐오는 증오로도 쓰일 수 있다. 그리고 사회라는 것은 결국 관계이다. 따라서, 혐오사회는 다른 어떤 거창한 무엇이 아니라, 바로 나와 다른 집단 사이에 생기는 미운 감정, 싫어하는 마음, 증오하는 감정을 일컫는다. 물론 저자가 말하는 혐오는 단순한 개인감정은 아니고 이데올로기에 따라 집단적으로 생긴 감정이다. 이 이데올로기가 개인에게 알게 모르게 침투해서 나타나는 것이다.

 

천사표가 아니라면 누구나 한 번쯤 다른 사람을 미워하는 마음이 있었을 것이다. 그 사람은 회사 동료가 될 수도 있고 상사가 될 수도 있으며, 가족이 될 수도 있다. 특정한 누군가가 될 수도 있고 불특정 다수를 포함한 집단이 될 수도 있다. 혐오사회는 바로 집단에 대한 혐오를 이야기하고 있다. 크게 세 집단을 이야기하는데 바로, 흑인 인종, 무슬림, 그리고 동성애자에 대한 혐오이다. 저자인 카롤린 엠케는 동성애자인데, 그로 인해 동성애자에 대한 내용을 많이 언급한다.

 

먼저 누군가를 혐오하기 위해서는 자기 확신이 있어야 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회의하거나 의심하다면 결코 그렇게 이성을 잃을 리 없다고 언급한다. 혐오의 대상은 위험한 힘을 지녔거나 열등한 존재로 근거 없이 추정된다. 혐오의 대상은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며 따라서 혐오를 하는 자들은 처벌받지 않는다. 그저 마땅히 향해야 할 자들을 향한 것이 된다.

 

증오는 그 감정 자체로 끝나지 않는다. 증오는 폭력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책에서 예로 들고 있는 흑인의 사망 사건은 여러 생각을 하게 만든다. 아무런 잘못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경찰은 지나가는 흑인을 폭력 사건의 가해자로 지목한다. 흑인이 자신은 아무 행동을 하지 않았다고 변론해도, 그리고 그것을 지켜본 다른 무리들이 이야기해도 백인 경찰은 전혀 아랑곳하지 않는다. 그저, 흑인은 증오의 대상이고 처벌의 타깃일 뿐이다. 결국, 과잉 진압으로 흑인은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게 된다. 그날 아침, 이런 일이 발생하리라고 그 흑인은 전혀 생각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일상에서 증오의 과녁으로 경험할 때마다 자칫 잘못하면 비참한 죽음을 맞이할 수도 있을 것이란 생각을 했을 것이다.

 

이처럼 증오는 폭력을 낳는데, 그 폭력은 무조건적이고 사회에서 묵인되며 정당화된다. 그들은 존재 자체로 멸시당하고 무시당한다. 권력은 그 행위를 정당화시킨다. 피해자만 존재하고 가해자는 존재하지 않는 사회가 되어버린 것이다. 시작은 바로 혐오와 증오였다. 혐오사회는 그렇게 흘러간다. 이렇게 혐오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저자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종교가 다르거나 사랑하는 방식이 다르거나 모습이 다른 사람들은 마치 피와 살로 이루어진 사람이 아닌 것처럼, 그림자도 생기지 않는 존재처럼 보이지 않는 존재로 취급되고 무시되는 곳들이. 상규에 들어맞지 않는 사람은 바닥에 밀쳐 쓰러뜨리는 곳, 아무도 그가 다시 일어나도록 도와주지 않는 곳, 아무도 사과하지 않는 곳, 뭔가 다르다고 괴물 같은 존재로 취급하는 모든 곳, 바로 거기서 증오에의 공모가 일어난다."

 

결국, 사회적 차원의 증오는 무방비한 개인이 개선하거나 해결하기 힘들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따라서, 정부기관, 경찰, 수사기관의 전폭적인 지지가 필요하다고 이들의 변화를 촉구한다. 더 이상 혐오를 눈감아주거나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단호히 법적인 처벌을 가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이 혐오사회가 변할 수 있는 길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피해자에서 도저히 나올 수가 없다. 저자는 이에 대해 '스스로 지적한다는 것은 몹시 불편한 일'이라고 표현한다. 그렇다. 비록 나는 그 수모와 무시, 피해를 당하지 않았더라도 그것이 부당하고 개선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우리 모두가 깨닫고 알아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만이 혐오사회에서 신뢰사회로 가는 해결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1-15 14: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데굴데굴 2018-01-15 14:31   좋아요 1 | URL
맞습니다. 표면적으로는 ‘묻지마’ 이지만 어쨌든 혐오가 표출되는 것이니깐요. 그렇지만 사회적으로 묵인되거나 정당화되지는 않으니 그나마 다행이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