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쇄살인범, 그들은 누구인가 - 대한민국 최고의 범죄학 박사 이윤호 교수의 연쇄살인범 53명의 프로파일링
이윤호 지음, 박진숙 그림 / 도도(도서출판)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테드 번디, 로버트 픽턴, 조지 해드너, 존 웨인 게이시, 테드 카진스키, 키플랜드 킨켈, 헨리 리 루카스.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이들이 세상을 뒤흔든 희대의 연쇄살인범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이들을 가리켜 연쇄살인범이라고 하는 걸까? 연쇄살인범을 특징짓는 세 가지 중요 요소는 ‘세 건 이상의 살인, 서로 다른 장소, 살인과 살인 사이에 여유를 두는 것’이라고 한다.

 

저자는 연쇄살인범으로 분류되는 53명을 대상으로 범행 수법, 범행 동기뿐 아니라 그들이 연쇄살인범이 된 출생과 성장 배경 등을 설명한다. 또한 그들의 생활상, 사회적 또는 심리적 특징들, 범행이 미친 사회적, 문화적, 예술적, 법률적 영향까지도 자세히 설명한다.

 

53명의 연쇄살인범의 모습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요소 중 하나는 불우한 어린 시절이다(물론 모든 연쇄살인범이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연쇄살인범은 가정 폭력의 피해자 혹은 성적 피해자였다.

 

물론 어린 시절에 받은 폭력만이 이들이 연쇄살인범으로 변한 이유는 아니다. 성장하면서 그들에게 가해진 또 다른 사회적 폭력이 그들을 변화시킨 주요 원인이기도 하고 어떤 이는 분명 타고나면서부터 그런 성향을 가진 채 태어나기도 했다.

 

이들 중 어떤 이들에게는 스스로를 통제할 수 없다고 주장한 정신적 문제가 있었다. 극에 달한 집착이 그 원인인 경우도 있고, 사회적 불만이 쌓이고 쌓여 그렇게 된 이도 있다. 삶의 모범생이 되기 위한 노력이 오히려 불행한 결과로 이어지고 했고, 타인의 관심을 고대한 마음이 범죄로 이어지기도 했다.

 

이들이 연쇄살인범이 된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그 근본에는 범죄에 대한 인식이 거의 없었다는 점이 있는 듯하다. 어린 시절 혹은 성장해서도 범죄를 범죄로 인식하지 못했기에 이들은 누군가에게 아무런 가책 없이 범죄를 저질렀던 것은 아닐까?

 

이들의 모습을 보면서 우리 사회에 뜨거운 논쟁의 대상이 된 소년법을 다시 돌아본다. 청소년들이 저지를 죄에 비해 너무 가벼운 처벌을 받는다는 주장도 일견 일리가 있다. 하지만 어린 시절부터 범죄에 노출되어있던 이들에게 범죄는 그저 하나의 일상이었을지도 모른다. 그런 아이들에게 벌을 주는 것만이 능사일까? 그 벌이 오히려 또 다른 연쇄살인범을 키우는 것은 아닐까? 모두가 깊이 고민해야 할 문제가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