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막의 게르니카
하라다 마하 지음, 김완 옮김 / 인디페이퍼 / 2017년 9월
평점 :
절판


피카소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작품이 <게르니카>이다. 이 작품을 보면서 그가 어떤 생각으로 이 작품을 그렸는지 한참 고민하고 또 고민했던 적이 있었다. 그만큼 이 작품의 첫 인상이 강렬했다. 작품에 담긴 그 무언가가 끝없이 끌어당기는 느낌이 지금도 가시지 않고 있다.

 

그런 느낌은 나만의 것은 아니었나 보다. <낙원의 캔버스>로 독자들을 사로잡은 하라다 마하가 피카소의 ‘게르니카’를 소재로 한 <암막의 게르니카>로 독자들을 찾아왔다. 작가 하라다 마하는 뉴욕현대미술관, 일본 모리미술관 큐레이터 출신으로 전작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작품에서도 그녀의 모습을 보여주는 듯한 요코라는 인물을 내세워 소설을 이끌어간다.

 

소설은 두 인물을 축으로 이어진다. 앞서 말한 요코라는 인물을 내세워 9.11 이후‘게르니카’의 태피스트리가 UN본부에서 암막에 가려지는 사건을 이어나가고 또 다른 인물인 ‘도라’라는 피카소의 연인을 내세워 ‘게르니카’가 그려진 과정 20세기 초반의 시대상과 ‘게르니카’에 담은 피카소의 정신을 묘사하고 있다.

 

“예술은 장식이 아니다.

적에게 맞서 싸우기 위한 무기다.”

 

피카소의 이 한 마디를 극명하게 표현한 게르니카. 9.11 사건과 연계해 이 정신을 되살린 작가의 상상력과 노력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특히 전쟁 그 자체를 반대했던 피카소의 생각은 남북이 대립된 상태에서 전쟁의 위험이 점점 고조되고 있는 오늘날의 우리에게 더욱 필요하지 않은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