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품 (특별판) 작가정신 소설향 11
정영문 지음 / 작가정신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떨 때 하품을 할까? 신체적으로 피곤해 졸음이 쏟아질 때가 그렇고, 너무 지루해서 집중할 수 없어 절로 고개가 수그러지려할 때도 그렇다. 하품은 결국 육체 혹은 정신적 노곤함을 이겨내지 못해 무언가에 집중하지 못하는 상태가 아닐까 싶다.

 

정영문의 <하품>은 어떨까? 일단 쉽지 않다. 작가의 말에서부터 시작된 말장난이 작품의 마지막 순간까지 이어진다. 도대체 작가는 왜 이런 말장난을 하는 걸까? 재미있는 말장난이라면 그러려니 하겠지만 두 명의 남자가 툭툭 던지는 말들이 그렇게 재미있게 들리지는 않는다. 그냥 직설적으로 표현해도 될 말들을 돌려한다는 건 결국 그에 대한 확신이 없어서일까?

 

그럴 수도 있겠다. 무언가 분명하게 주장하기 어려울 때 혹은 강하게 말하기 어려울 때 종종 말을 돌려서하는 게 인간의 습성이 아닐까? 그렇다면 이들에게 삶이란 어떤 것이었을까? 어떤 삶을 살았기에 무슨 말을 하더라도 이렇게 비비꼬아 말할 수밖에 없었을까?

 

두 사람의 대화를 들어보면 평범한 삶을 살던 이들이 아님은 분명하다. 범죄의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공범인 두 사람은 평범한 일상에 대한 관심이 그렇게 많지 않은 듯하다. 상대방에서도 마찬가지. 관심을 가진 듯 하면서도 툭툭 던지는 한 마디, 한 마디는 결코 그렇지 않다.

 

아침에 눈을 떠 정신을 차리면, 하루가 시작되는 것을 볼 때만큼 두려운 순간이 없네.

 

이들에게는 하루하루를 살아갈 의욕이 전혀 없어 보인다. 평범한 삶과는 동떨어진 그들의 삶은 무언가에 집중하면서 살아갈 수 없는 상태처럼 보이기도 한다. 별다른 목적도 없이 그저 삶에 권태로움을 느끼면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그들에게 이들이 던지는 말들이 결국 무언가 지루함과 권태로움을 느낄 때 저절로 드러나는 하품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느낌이 강하게 드는 건 나 혼자만의 착각일까?

 

짧은 이야기에 너무 깊은 이야기가 담겨서 그런지 아니면 작가의 작품을 처음 읽어서 그런지 제대로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전작과 비교해서 설명한 작품 해설을 읽어도 여전히 어렵다. 무언가 잡히는 듯 하면서도 잡을 수 없는 안개에서처럼 희미한 무언가를 본 듯한 느낌만 들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