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낌없이 뺏는 사랑
피터 스완슨 지음, 노진선 옮김 / 푸른숲 / 2017년 6월
평점 :
피터 스완슨, 전작 <죽여 마땅한 사람들>을 읽으면서 작가의 매력에 흠뻑 빠져들었기에 신작 <아낌없이 뺏는 사랑>은 당연히 읽어야할 작품이었다. 어떤 매력적인 이야기로 또 나를 홀릴지 무척 궁금했다. 제목이 주는 강렬함도 상당했고.
20년 만에 첫사랑 리아나를 다시 만난 조지는 주저함 없이 그녀의 부탁을 들어주면서 돌이킬 수 없는 혼란 속으로 빠져든다. 사실 첫사랑 리아나의 부탁을 들어준 조지의 모습이 그렇게 이해가 되지는 않는다. 남자들이 첫사랑을 잊지 못한다고 하지만 막상 첫사랑을 만났을 때 변해버린 모습에 실망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리아나의 부탁을 들어준 조지는 다시 만난 리아나가 그의 환상을 충분히 채울 수 있을 만큼 매력적이었기 때문이었을까?
반면 자신를 사랑하는 조지를 하나의 도구처럼 사용하는 리아나의 모습은 교미 후 수컷을 잡아먹는 암컷 독거미의 모습을 떠오르게 한다. 그래서였을까, 저자가 <아낌없이 뺏는 사랑>이라는 제목을 쓴 이유가.
소설은 조지와 리아나가 만난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사건들을 교차해가면서 보여준다. 조지와 리아나가 서로에게 그렇게 얽혀있을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해주기 위해서인지 혹은 그들의 사랑은 우리가 생각하는 바와는 또 다른 모습일 뿐임을 알려주기 위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조지를 이해하기 어려운 만큼 리아나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인물은 아니다. 언뜻 보면 분명 조지를 이용하는 악녀의 모습이지만 어떤 모습에서는 조지를 사랑하는 그녀만의 방식이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게 하기도 한다.
현실에서 조지처럼 사랑하지도 않고 리아나와 같은 여자를 만난 적도 없다. 하지만 세상에 수많은 사랑의 모습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들과 같은 사랑이 없을 것이라고 말할 수는 없겠다. 아니 우리 주변에서 그런 모습들을 흔히 보고 있을지도 모른다.
가정 폭력을 떠올리면 분명 그러하다. 폭력 앞에서도 상대방을 두둔하면서 끝없이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모습이 조지와 리아나의 모습과 그렇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이를 사랑이라고 부를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전작만큼 강렬한 인상을 심어준 작품이다. 경험하지 못한, 아니 경험하고 싶지 않은 사람들의 모습을 볼 수 있었던 흥미로운 시간이기도 하였고. 다음 작품은 어떤 모습으로 다가올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