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자들 천만 영화를 해부하다 평론 시리즈 1
한국미디어문화학회 지음 / 연극과인간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을 들려주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누군가는 글로, 누군가는 음악으로, 누군가는 그림으로 이 시대의 모습을 표현한다. 여러 방법들 중에서 누구나 쉽게 그리고 자주 찾는 미디어라고 한다면 영화를 빼놓을 수 없다. 오늘날 한국 영화 시장은 영화 관람객 수도 상당하고, 관람객의 수준도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

 

‘천만 영화를 해부하다’ 시리즈는 우리 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준 한 편의 영화를 선택해 각 평론가들의 다양한 시각을 들려주면서 해당 영화에 대한 분석, 우리나라 대중문화의 현실과 실제 한국 사회의 모습을 독자가 파악할 수 있게 하자는 취지로 한국미디어문화학회에서 편찬한 책이다.

 

첫 번째 천만 영화로 선정된 작품은 바로 <내부자들>이다. 대단한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던 영화로 이 시대의 우리사회가 안고 있는 온갖 비리와 불의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였을 뿐 아니라 영화에서 꼬집은 사회의 모습과 대중의 모습이 결국 촛불 민심으로까지 이어졌다는 생각에 이 영화가 첫 작품으로 선정된 이유에 공감할 수 있었다.

 

이 책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9명의 회원들이 쓴 평론이 수록되어 있는데, 각각의 회원들은 말 그대로 각양각색의 생각들을 펼쳐놓는다. 거울 구조를 통한 기억의 투쟁을 얘기한 평론가도 있고, 미디어의 역할에 대해 말한 평론가도 있다. 영화를 본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대한민국 권력의 구조에 대한 평론도 있다. 누군가는 배우의 연기력에 대해서 언급하기도 하였다.

 

사람마다 생각과 신념 등이 다르기에 각 평론이 영화를 올바르게 평가했는지 혹은 감독이 전하고자 하는 바를 제대로 반영했는지에 대해서는 옳고 그름을 논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각 평론가의 시각에서 같이 바라보면서 영화를 보는 재미도, 사회를 날카롭게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도 가다듬을 수 있지 않나 싶다.

 

이강희가 교도소에서 누군가와 통화한 내용이 현실의 우리를 일깨워 불의에 분노하며 모든 것을 떨쳐버리고 일어나게 만들지 않았나 싶다. 대중은 쉽게 끓고 금방 식는 흙수저가 아니라는 것을. 세상을 바꿀 수 있는 뜨겁게 달구어지고 두드려진 강철과 같은 존재라는 것을, 지금 우리는 분명하게 느끼고 있다.

 

‘천만 영화를 해부하다’ 시리즈, 앞으로 더욱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