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혀 있는 한국 현대사 - 조선인 가미카제에서 김형욱 실종 사건까지, 기록과 증언으로 읽는 대한민국사
정운현 지음 / 인문서원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십 년의 삶을 살다보니 옛일이 이제는 가물거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 생각이나 삶을 바꿀 정도가 아니라면 한 자락의 기억조차 남기지 못한 사건들도 적지 않다. 개인적인 삶에서도 그럴진대 한 나라의 역사에서 묻혀버린 이야기들은 얼마나 될까?

 

누군가의 의도에 의해서 고의로 묻힌 역사도 있을 것이다. 혹은 일방의 의견만이 반영된 잘못된 역사가 있을지도 모른다. 이처럼 우리가 알지 못한 채 묻혀 버린 역사들이 더 많을지도 모른다. 이 책의 저자가 들려주는 이야기가 바로 우리가 알지 못했던, 묻혀 있던 한국의 현대사에 관한 것들이다.

 

저자가 새롭게 드러낸 19개의 역사는 너무나 놀라웠다. 정말 이런 일이 있었는지 인터넷을 검색해서 찾아볼 정도였다. 물론 이미 알고 있었던 사실들도 있지만 이번에 처음으로 들은 이야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면서 이런 생각이 든다. 왜 이런 이야기를 한 번도 듣지 못했던 걸까? 도대체 우리가 알아야 할 이런 역사가 묻혀 있던 이유가 무엇일까? 과연 우리의 후손들은 올바른 역사를 배울 수 있을까? 아니, 우리나라에 제대로 된 현대 역사가 남겨지기는 할까?

 

인터넷으로 모든 것이 기록되는 세상이기에 우리가 살아가는 지금 이 시대의 이야기는 어떻게든 자료로 남을 것이다. 하지만 저자의 말처럼 어떤 역사들은 세상에 제대로 드러나지도 못한 채 사라져 버릴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저자의 바람처럼 후대에 사실을 기록하여 전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깨끗한 이미지로 우리 모두가 존경하는 유한양행의 숨겨진 모습, 우리 문화와 역사를 살려낸 일본인 민예학자, 을사오적보다 더 먼저 친일 행적을 보인 친일파 1호 김인승. 이 모든 이야기들이 우리 역사에서 오랫동안 묻혀 있었다. 이런 역사가 영원히 묻혀 있었다면 어땠을까? 누가 아군이고 누가 적군인지도 모른 채 싸워야 하는 그런 혼돈의 전쟁이 생기지 않았을까?

 

역사는 과거의 이야기이지만 미래를 세우는 기본 중의 기본이다. 그렇기에 역사는 있는 그대로 후대에 전달되어야 한다. 그것이 지금을 사는 우리가 반드시 지켜야 할 책임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