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직 스트링
미치 앨봄 지음, 윤정숙 옮김 / arte(아르테)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랭키 프레스토, 책을 읽는 동안 그가 정말 소설 속 인물이 아니라 이 땅에 실제로 살았던 인물처럼 느껴졌다. 그의 일생을 회고하는 이들이 실존 인물이었기 때문일까? 아니면 어렸을 때부터의 삶을 차곡차곡 세세하게 들려주며 사실감을 더해 주었기 때문일까? 프랭키 프레스토는 유명한 인물들과의 일화를 남긴 실존 인물처럼 다가왔다. 때로는 잔잔하고, 때로는 격정적이고, 때로는 따스한 감동을 우리에게 전달하면서 말이다.

 

책의 분위기는 처음부터 가벼운 듯 하면서도 화려하고, 경쾌하지만 때로는 묵직한 느낌을 주기도 하고, 따뜻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상당히 애잔하기도 하다. 프랭키의 죽음 이후 장례식장을 찾은 이들과의 인터뷰 형식으로 사실감을 더하기도 하지만 왠지 모르게 작고 귀여운 아기 요정처럼 생겼을 것 같은 음악을 전면에 내세워 독자를 신비로운 마법의 세계로 이끌고 가기도 한다.

 

모든 사람은 음악적이라는 말

 

음악은 누군가를 살아 있게 하지는 못하지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말

 

그 말이 지금도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다. ‘신이 쿵쾅거리며 뛰는 심장을 준 이래 인간은 늘 음악적이다라는 멋진 말로도 인간이 가진 음악적 성향을 모두 표현하지는 못하는 것 같다. 그런 멋진 음악이 또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치는지도 인간의 언어로는 제대로 표현할 수 없을 것 같다.

 

그런 음악이 또 얼마나 멋진 만남을 이끌어내는지. 프랭키와 그의 스승 마에스트로의 만남처럼.

 

이 책에서 이루어진 모든 만남 중 가장 기억에 남는 만남이라면 프랭키와 마에스트로의 만남, 프랭키와 그의 아버지 바파의 만남. 그러고 보니 둘 모두 아버지와의 만남이든가.

 

너무나 인상 깊다. 이들의 만남이 얼마나 깊은 감동을 주었는지 모른다. 그들의 희생은 말할 것도 없고.

 

프랭키는 실존 인물이 아니지만 아마 모든 이들의 마음에 살아있는 존재임에는 분명해 보인다. 각자 다른 이야기들을 들려준 이들의 이야기는 결국 그들이 바라본 음악, 사랑의 이야기임에 다르지 않아 보이니까.

 

지금 나는 어떤 음악을 들어야 할까? 프랭키 프레스토를 만나기 위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