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아들 예수 - 개정판
칼릴 지브란 지음, 박영만 옮김 / 프리윌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칼릴 지브란의 <예언자>를 읽고 그의 사상에 흠뻑 취했던 적이 있었다. 아주 아주 오래 전 일이다. 세월이 흘러 얼마 전에 다시 한 번 <예언자>를 읽었다. 나이가 들어서인지 또 다른 의미와 느낌으로 다가왔다. 그러면서 그의 또 다른 저서 <사람의 아들 예수>가 읽고 싶어졌다.

 

이 책을 읽고 싶은 마음이 컸지만 선뜻 손이 가지 않았던 이유는 제목에서 풍기는 느낌이 왠지 종교적으로 문제가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선입견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이다. 이번에도 그런 느낌을 지울 수 없었지만 그래도 한 번 읽어보자 생각했다.

 

이 책은 예수님이 살았던 그 당시의 사람들의 눈으로 바라본 예수님의 모습을 들려준다. 때로는 성경에 나오는 이의 눈으로 본 예수님의 모습을, 때로는 저자의 상상력에서 나온 인물의 시선으로 바라본 예수님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렇기에 이 책은 신학적인 근거를 토대로 이루어진 책은 아니다. 저자의 깊은 묵상과 상상력을 통해 나온 이야기들이다. 그래서 누군가는 그 내용에 거부감을 가질지도 모르겠다. 누군가는 예수님을 더욱 친밀하게 느끼게 될지도 모르겠다.

 

나 같은 경우에는 이런 생각이 들었다. 예수님을 따랐던 이들의 모습에서는 하나님이신 예수님을 믿는 시대를 초월한 수많은 제자들을 볼 수 있었고, 예수님을 거부하고 부인했던 학자나 사람들의 모습에서는 오늘날 예수님을 거부하는 이들의 모습이 겹쳐져 보였다.

 

이 점이 내게 가장 크게 다가왔다. 신학적으로는 어떨지 모르지만 사람들의 마음을 들여다봄으로써 예수님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이해하고 그들에게 어떻게 다가가야 할지를 생각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하나님이신 예수님, 사람으로 이 땅에 오신 예수님의 모습을 깊이 묵상함으로써 사람들에게 어떻게 예수님을 소개해야 할지를 다시 한 번 고민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예수님은 분명 하나님이시며 또한 온전한 사람으로 이 땅에 오셨다. 하나님이시며 사람이신 예수님이 남기신 흔적과 목적은 이 순간을 살아가는 믿는 우리 모두가 깊이 깨달아야 할 부분이다. 저자는 그런 깨달음을 위해 우리에게 이 책을 통해서 이야기한다. 예수님의 참된 모습을 올바로 바라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