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망이 아닌 선택
디오도어 루빈 지음, 안정효 옮김 / 나무생각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450여 페이지의 분량에 그렇게 쉽다고만 말할 수 없는 내용의 책이지만 수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말 그대로 절망에서 행복으로 사람들을 이끌어 준 책이기 때문이다.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결국 자기증오와 관용, 그리고 기쁨이다.

 

자기증오라는 말에 처음에는 나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나름 매일의 삶을 열심히 살면서 스스로 만족하며 살고 있다고 생각했기에 자기증오라는 말이 그렇게 선뜻 다가오지는 않았다. 한 때 사업에 실패해 절망에 빠져 있던 적도 있지만 그때조차 나 자신에 실망하지는 않았기에 자기증오라는 말에 공감하기 어려웠다.

 

그런데 저자의 설명을 들어보니 어느 정도 공감이 된다. 자기증오는 내가 생각한 의미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표현된다. 저자는 자기증오의 형태를 직접적인 자기증오와 간접적인 자기증오로 분류한다. 직접적인 자기증오에는 자기조소, 자기비하, 완벽주의 등이 있고, 간접적인 자기증오에는 환상, 권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이런 분류를 놓고 생각해보니 내 모습 중에 자기증오라고 할 만한 부분이 적지 않았다. 환상이라는 측면도, 권태라는 측면도, 무엇보다 직접적인 자기증오의 완벽주의라는 측면은 내게서 자주 찾아볼 수 있는 자기증오의 변형된 모습이었다.

 

나 자신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절망 속에서 지난날들을 보내왔다고 생각하니 순간적으로 당황스러웠다. 진짜 그랬던 걸까? 스스로도 알지 못할 정도로 마음 속 깊은 곳에 아픔과 슬픔과 절망을 꽁꽁 숨겨놓고 있었던 걸까? 정말 그랬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

 

이런 생각에 빠져 있는 순간 저자는 자기증오라는 부정적 요소가 아니라 우리에게 건설적이고 창조적인 가능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자기수용의 긍정적 요소를 설명한다. 바로 관용이다. 자연스러운 인간의 본능이자 습성인 관용이 모든 사람들에게서 바로 드러나지는 않는다. 하지만 충분한 의욕과 동기만 부여된다면 관용이 어느 순간 깊은 잠에서 깨어나 활동하기 시작한다. 그 순간이 바로 절망에서 행복으로 가는 첫 걸음이 될 것이다. 관용은 또한 기쁨으로 가는 관문이다. 관용을 통한 참된 기쁨과 즐거움은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의 의미가 된다.

 

지금 이 순간 있는 그대로의 내 모습으로 절망이 아닌 기쁨의 길, 행복의 길로 모두가 함께 나아가기를 바라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