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로운 계급투쟁 - 난민과 테러의 진정한 원인
슬라보예 지젝 지음, 김희상 옮김 / 자음과모음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단순하게 서로 존중하는 선에 그치지 말고 함께 투쟁하자고 제안하자. 오늘날 우리의 문제는 공동의 문제다(p.107)
솔직히 난민 문제가 그렇게 가슴에 와 닿지는 않는다. 머나먼 타국에서 일어나는 비극적인 일이기에 가슴 아파하고 무언가 도울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돕고 싶지만 굳이 나서서 무언가를 먼저 한다든지 혹은 내 일처럼 그렇게 많은 신경을 쓰지는 않는다.
그런데 난민 문제는 정말 나와 상관없는 문제일까? 결코 그렇지 않다. 난민 문제는 먼 나라에서 벌어지기에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 아니다. 이는 온 인류가 함께 손을 맞잡고 해결해야 할 우리 모두의 문제이다. 난민 문제가 우리 모두의 문제인 것은 이 모든 불행의 뒤에는 글로벌 자본주의가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전쟁의 이면을 살펴보면 전쟁으로 분명 누군가의 이익을 본다. 역으로 전쟁은 누군가의 이익을 위해 일어나는 일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글로벌 자본주의가 결국 전쟁의 원흉이라는 의미이기도 한다.
이처럼 전쟁의 이면에 숨은 글로벌 자본주의는 어느 한 나라에 국한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들이 글로벌 자본주의의 지배하에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그렇다면 우리도 역시 글로벌 자본주의의 희생양이 되어 지금 유럽을 향해 달려가는 난민들과 똑같이 행동할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난민 문제는 또한 새로운 계급투쟁의 결과물이다. 그렇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자비나 관용만으로 부족하다. 그보다 더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 바로 착취당하고 억압받는 자들의 세계적 연대이다.
우리는 우리가 기다려온 바로 그 사람이다(p.113)
호피족의 옛 속담을 인용한 저자의 말처럼 우리는 의지할 위인이 없다. 우리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 물론 올바른 방법을 통해서 말이다.
쉽지 않은 일이다. 그저 꿈같은 이야기일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저자의 말처럼 불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에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늘 패배자일 수밖에 없다.
정치, 종교, 폭력 등 난민 문제의 원인을 전체적으로 고찰한 저자의 주장에 귀 기울여야 한다. 그것이 더 나은 곳으로 나아가려는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방법이기에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