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의 뇌로 산다 - 세상을 깊이 있고 유용하게 살아가기 위한 과학적 사고의 힘
완웨이강 지음, 강은혜 옮김 / 더숲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제목에서부터 살짝 마음이 뒤틀린다. 이공계의 뇌로 산다는 표현에는 인문계적 사고방식에 문제가 있음을 조금 틀어서 얘기하고 있다는 뉘앙스가 담겨있기 때문이다. 이런 느낌을 받은 이유는 당연히 내 자신이 인문계 출신이고, 지금도 인문학적 사고방식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문학적 사고와 이공계적 사고는 무얼까? 첫 페이지에 이런 글이 있다.

 

인문계 사람은 때로 자신의 가치 판단을 상식이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그들의 판단은 본능적인 사고를 거쳐 도출되었기 때문이다.

 

그래, 그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본능적인 사고를 거친 판단이 진정으로 잘못된 걸까? 수치와 데이터로 이루어진 이공계적 판단이 항상 옳다고 말할 수 있을까? 저자는 인문계적 사고와 이공계적 사고의 차이를 드러내는 상황을 트레이드오프라는 영단어로 설명한다.

 

두 가지 중에 하나를 취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이것을 희생하고 나머지 것을 취해야 한다. 이런 판단을 위해서는 사물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해 결정해야 한다. 이때 인문계적 사고는 좋은 것만 반기고 이공계적 사고는 장단점을 분석해 그에 맞게 타협을 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저자의 말이 무슨 의도인지는 충분히 이해하겠다. 그렇지만 살아가다 보면 수치와 데이터가 아닌 원칙이 앞서야 할 때가 분명이 있다. 눈앞에 손해가 보이더라도 이를 감수해야 할 때가 있다. 어이없어 보이는 결정이지만 그렇게 나아가야 할 때가 있다.

 

왜 그럴까? 사람 간에 이루어지는 관계 혹은 정책은 수치와 데이터만으로 결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때로는 손해를 감수하는 그런 감정적인 혹은 인문학적인 사고가 생각지도 않은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개인적으로 사업을 하기 때문에 수치와 데이터의 중요성은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고, 이공계적 사고(과학적 사고)의 중요성도 충분히 공감할만한 내용이다. 그렇지만 여전히 이공계적 사고를 넘어선 판단이 필요한 때가 있다는 생각을 떨쳐버릴 수는 없다. 하나의 시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이 세상에는 여전히 많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