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과 도덕
버트런드 러셀 지음, 이순희 옮김 / 사회평론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혼이란 무엇일까? 어렸을 때는 결혼이 그저 사랑하는 두 사람이 평생을 함께 하는 과정이라고만 생각했다. 그랬기에 사랑하는 사람이 없다면 당연히 결혼도 없다고 생각했다. 그래서였는지 모르지만 오랫동안 결혼과는 거리가 먼 생활을 했다.

 

그러면서 주변에 결혼한 친구들을 보면 결혼이란 단순히 사랑하는 두 사람의 관계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사랑이라는 것이 전제되기는 하지만 결혼의 이면에는 두 사람보다 더 큰 무언가가 있었다. 때로는 두 사람의 집안이기도 했고, 때로는 그들의 맺은 사랑의 결실이기도 했고, 때로는 그들이 나누는 미래에 대한 꿈이기도 했다.

 

그렇기에 결혼은 단순히 낭만적인 요소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결혼에는 본능적 요소, 사회적 요소, 종교적 요소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다. 그 중에서 성()적인 문제는 참 다양한 생각을 갖게 만든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성에 대해 개방적이지 않다. 성이란 것이 결코 부끄러운 것이 아님에도 무언가 성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 갑작스럽게 부끄러워지고 죄를 지은 것만 느낌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이처럼 성에 대한 사회적, 종교적 금기가 많은 사회에서는 여성에 대한 불평등이 생기게 되고 이는 결국 행복한 결혼으로 이어지기 어렵다.

 

행복한 결혼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러셀의 말처럼 두 사람 사이에 완전한 평등이 이루어지고 육체적, 정신적, 지적으로 깊이 있는 친밀감을 유지해야 가능한 걸까? 물론 그렇다. 두 사람 사이에 불평등이 존재하는데 행복하다고 말하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주장이다. 또한 육체적, 정신적, 지적으로 서로 동떨어져 있다면 두 사람 사이의 거리감은 그 보다 훨씬 더 클 것이다.

 

내가 가진 종교, 철학과 그의 주장이 다르기 때문에 저자의 이야기에 모두 공감할 수는 없었다. 그렇지만 경직된 사회적 분위기가 결혼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점만큼은 분명하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가 하루아침에 바뀌지는 않겠지만 조금씩 변화를 이루어나가야 한다. 그 첫 걸음 다른 누군가가 먼저 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그 첫 걸음은 바로 나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것이 세상을 바꾸는 실제적인 방법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