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 신화 - 바이킹의 신들 현대지성 클래식 5
케빈 크로슬리-홀런드 지음, 서미석 옮김 / 현대지성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윤기님의 <그리스·로마 신화>를 읽고 한 때 신화에 깊이 빠졌던 적이 있다. 신화를 읽게 되는 이유 중 하나는 신화가 결국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그리스·로마 신화에 나오는 신들을 보면 인간처럼 사랑과 질투에 눈이 멀어 때로는 장난스럽게, 때로는 난폭하게 행동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 책에서 만나게 되는 북유럽 신들도 그리스·로마 신화의 신들과 별반 다르지 않다. 어떤 면에서 이들이 조금 더 거칠다는 점을 뺀다면 말이다. 이처럼 서로 비슷한 모습의 신들을 그려냈다는 점에서 본다면 앞서 말했듯이 신화는 각 지역마다 나름의 특색을 가지고 있지만 인간의 상상력을 새롭게 펼쳐놓은 또 다른 인간들의 이야기일 뿐이다.

 

물론 북유럽 신화는 그리스·로마 신화보다 조금은 더 낯설다. 낯선 만큼 몇몇 신들을 제외하고는 신들의 이름도 쉽사리 외워지지 않는다. 그것이 책을 읽는 동안 힘들었던 이유 중의 하나다. 그렇지만 조금씩 신들의 이름이 익숙해지기 시작하면서 이들의 모습에서도 그 당시 인간들이 생각했던 수많은 신비한 이야기들이 어떻게 신화로 그려졌는지를 엿볼 수 있다.

 

북유럽 신화에서도 역시 신들과 거인들의 싸움이 등장한다. 이는 다른 지역의 신화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이야기로 인간의 욕심이 어느 시대, 어느 장소에서나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내고자 했던 것일지도 모른다.

 

그 뿐만이 아니다. 신들과 거인들 간에는 다툼도 있지만 정반대의 모습으로 서로 간에 사랑에 빠진 모습들을 드러내기도 한다. 결코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신과 거인족의 사랑 이야기가 이후 로미오와 줄리엣 등과 같은 비운의 사랑 이야기로 이어졌다고 가정한다면 너무나 비약적인 발상일까?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은 조금 의외의 모습들을 보이기도 한다. 특히 북유럽 신들 중 최고의 신이라 불리는 오딘의 모습은 더욱 그러하다. 오딘은 여타의 신화 속에 등장하는 신들과는 전지전능한 신이 아니다. 오히려 불완전한 인간의 모습과 더욱 닮았다.

 

32편의 짧은 이야기에 담긴 인간의 상상력이 때로는 투박하게 때로는 흥미진진하게 이어진다. 게다가 62장의 삽화가 실려 있어 상상의 날개를 펼치라고 독자를 끝없이 부추긴다. 보다 재미있게 이 책을 읽으려면 본문을 읽기 전에 용어집을 참조해서 서론을 꼭 읽기를 바란다. 북유럽 신화 전반에 걸친 설명으로 본문에 대한 이해도를 한층 높여준다.

 

신화는 또 다른 상상 속 이야기지만 한편으론 인간의 모습이 담긴 현재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래서 신화를 읽는가 보다. 나와 같은 인간의 모습을 살짝이나마 엿보고 싶은 마음에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