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미너리스 1
엘리너 캐턴 지음, 김지원 옮김 / 다산책방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슨 상 수상작이라는 표현이 붙은 책을 대하면 늘 궁금해지는 것이 있다. 그 책을 수상작으로 선정한 이유 말이다. 이상 문학상 같은 경우는 대상으로 선정한 작품에 대한 선정위원들의 기준이 같이 실려 있어서 그 글을 읽으면 어느 정도 이해하게 되지만 다른 수상작들의 경우는 사실 그 기준이 무엇인지 모호하기만 하다.

 

이 작품도 2013년 맨부커상 수상작이라는 타이틀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왔다. 노벨문학상, 공쿠르 문학상과 더불어 세계 3대 문학상의 하나인 맨부커상 수상작이라고 하니 그 선정 기준이 무얼까, 라는 궁금증이 더욱 커졌다.

 

그런데 읽기가 쉽지 않다. 예전부터 생각했던 것이지만 문학상을 받은 작품들은 읽기가 쉽지 않다. 내용이 어려운 것도 있고, 무슨 의미가 담겼는지 깊이 고민하면서 읽다보니 그렇기도 하다. 이 작품도 그런 의미에서는 마찬가지였다. 게다가 이 책이 읽기 어려웠던 점 중 하나는 분량이다. 개인적으로 장편소설을 좋아하는 편이지만, 1100페이지에 달하는 분량이다 보니 그렇게 빨리 읽기는 어려웠다. 또한 책 내용도 사실 쉽지 않다. 살면서 별다른 관심을 가져본 적 없는 별자리나 점성술에 빗대어 풀어나간 내용이 그렇게 와 닿지가 않는다.

 

특히 밑그림을 그린 듯한 1권은 읽기가 더욱 어려웠다. 인물도, 시간적인 구성도, 내용도 생각했던 것과는 달랐기 때문에 더욱 그러했다. 그래서였을까? 소설의 정석이라는 심사위원장 로버트 맥팔레인의 말은 무슨 뜻인지 감도 잡히지 않았다.

 

물론 이 책이 엄청나게 난해해서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책이라는 말은 아니다. 2권에 들어가면서 점점 흥미로워지고 가독성도 높아진다. 황금을 쫓는 인간 군상의 모습에서 여러 생각이 교차하기도 하고, 미스터리한 사건들이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인간 내면의 모습들을 드러내는 장면들에서 소설이 가진 힘을 보여주기도 한다.

 

아쉽기도 하고 만족스럽기도 한 소설이었다. 분명한 건 24살의 작가가 참 대단하다는 점이다. 이런 책을 쓸 수 있다니. 앞으로 그녀가 어떤 작품으로 다시 다가올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