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느 철학과 자퇴생의 나날 - 2015년 제11회 세계문학상 우수상 수상작
김의 지음 / 나무옆의자 / 2015년 10월
평점 :
책을 덮고도 한참을 가만히 있었다. 도대체 내가 지금 뭘 읽은 거지? 이게 뭔 내용인 거야? 이런 생각들이 계속해서 머릿속을 흔들었다. 어찌 보면 별 것 아닐지도 모른다. 한 남자를 둔 두 여자의 사랑. 그 사랑이 야기한 불행한 결말. 주변에서 흔히 듣을 수 있는 이야기이다. 그런데 이 여자 둘의 정체를 알면서 상황이 완전히 바뀐다. 그녀들이 바로 트랜스젠더이기 때문이다.
끝없이 인우를 괴롭히는 17세 불량청소년 밤색 머리 남자아이도 그렇다. 그저 단순히 인우를 괴롭히는 정도라면 말이다. 하지만 인우를 괴롭히는 그의 모습은 말 그대로 악마와 같다. 게다가 인우 엄마와의 관계가 사실이라면.
필균이 아저씨는 또 어떤가? 예전에 텔레비전에서도 실제 일어났던 사건을 다룬 적이 있었는데, 필균이 아저씨가 바로 그 사건을 대변하는 현대판 노예 그 자체다. 인권 자체가 완전히 사라진 그런 노예.
이들 뿐만이 아니다. 인우가 사는 15층에 사는 주민들, 늙은 영화 누님 등등 모든 인물들의 인생이 참으로 고달프다. 뭐라고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작가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불운한 존재들을 다 끌어 모아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었던 걸까? 아니면 맥없이 당하기만 하는 인우를 대신해 그를 괴롭히는 악마에게 분노의 일갈을 터뜨리고 싶었던 걸까? 철학과(철학과로 표현한 삶이라고 해야 할까)를 자퇴한 인우의 삶은 그럴 수밖에 없었음을 알리고 싶었던 걸까?
모르겠다. 트랜스젠더라는 말 하나로 시선이 바뀌고 아무리 악마와 같은 행동을 해도 누구하나 나서서 말리지 않는 세상(물론 1504호 아줌마는 여기에서 제외한다)이라면 누구라도 인우와 같아지지 않았을까?
인우의 외침이 또 다시 들린다.
세상은 무슨 이유로 저 악마를 내버려두는지 모르겠다. 응당한 형벌을 가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인간으로 만들려고 노력하지도 않는다. 세상도 악마가 두려운 것일까. 아니면 애초부터 악마에겐 관심조차 없었던 것일까 (p.266)
어렸을 때 보았던 어르신들이 떠오른다. 동네 아이가 잘못하면 나서서 혼을 내시던. 그런 어르신들은 다 어디로 가신 걸까? 이 땅에 더 이상 어르신들은 없고 자신만을 위해 웅크리고 살아가는 나이든 아저씨와 노인들만 남아 있는 것 같으니. 대쪽 같았던 그 분들의 자태가 너무나 그리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