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제는 이름이 없는 자
르네 망조르 지음, 이세진 옮김 / 현대문학 / 2015년 8월
평점 :
절판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온갖 좋은 것, 특히 상대방이 좋아하는 것을 주고 싶어 하는 것일까? 아니면 자기가 좋아하는 혹은 자기가 좋다고 생각하는 것을 상대방에게 주는 것일까? 둘 다 틀리지는 않지만 둘 사이를 어떻게 조율하느냐에 따라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소설 <이제는 이름 없는 자>에서는 잘못된 사랑의 결과가 얼마나 처참할 수 있는 지를 그리고 있다. 그것도 자신과 상대방뿐 아니라 아무런 관계가 없는 타인에게도 커다란 여파를 미치는 그런 참혹한 결과 말이다.
천인공노할 살인사건은 일어나지 않았을 수도 있다. 상대방의 생각과 삶을 있는 그대로 존중하고 받아들였다면 말이다. 리퍼를 통한 살인사건은 상대방의 생각을 존중하지 않고 오로지 자신이 생각하는 방식으로 사랑을 표현한 범인의 마음이라 어떤 면에서는 너무나 안타깝기도 하다. 분명히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것이지만 결코 사랑이라고 부를 수 없는 행동이기에 말이다.
더 안타까웠던 것은 상대방의 생각이 너무나 고귀한 자기희생의 모습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보통 사람들은 쉽게 결정하기도, 쉽게 실천하기에도 힘든 일인데 그런 고귀한 희생이 처참한 범죄의 계기가 되어버린 상황이라니.
소설의 소재 자체는 그렇게 새롭지는 않다. 최면술로 다른 사람을 조정하는 범죄자에 관한 이야기는 도나토 카리시의 <속삭이는 자> 등의 소설에서 이미 접했던 이야기이다. 이 소설의 재미는 소재에 덧붙인 또 다른 이야기들이다. 특히 죽음을 둘러싼 생각들은 앞으로 내게 다가올 죽음을 생각해보게 하였다. 과연 어떤 죽음을 준비해야 할지에 대한. 이 소설에서는 사랑의 역설적인 모습도 보았지만 사랑의 힘도 보았다. 누군가의 마음을, 감정을 다시 일으켜 세운 그런 사랑.
소설적 재미도 상당하다. 특히 마지막 부분의 예상치 못했던 반전도 기대 이상이었고, 마지막 페이지는 가히 충격(?)이라고 말할만하기도 하다. 읽는 내내 즐거운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