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용이 있다
페르난도 레온 데 아라노아 지음, 김유경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다른 책과는 달리 이 책은 표지에 경고문처럼 보이는 글들이 담겨있다. ‘반드시 천천히 읽을 것’ ‘의심하라 생각하라 비틀어라 그리고 뛰어들라’ ‘픽션이야말로 현실의 미궁에서 당신을 구원할 것이다등등. 왠지 모르게 소설책을 본다는 생각보다는 영화나 드라마의 한 장면을 보는 듯한 느낌이었다. 표지에서 이런 느낌을 받은 것이 우연은 아니었다. 이 책의 저자 페르난도 레온 데 아라노아가 바로 시나리오 작가이자 영화감독이었기 때문이다. 그의 직업적 특성이 표지에도 드러난 것이 아닐까 싶다.

 

<여기 용이 있다>라는 제목도 눈길을 끈다. 용이라고 하면 상상의 산물인데, 용이 있다는 표현이 주는 의미가 상상할 수 있다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생각을 하면서 들어가며를 읽는데 여기 용이 있다의 의미가 고대의 미완성 지도에서 용을 사용하여 최악의 협곡이 어디인지를 알려주는 경고와 한계의 표시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좀 더 은유적으로는 지식의 끝에서 상상의 나래를 펴는 픽션의 세계를 가리킨다는 의미이다.

 

오호, 기대가 점점 커진다. 과연 어떤 내용이 담겨있을까, 어떤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 될까, 궁금해졌다. 게다가 이 책이 스페인에서 청소년과 젊은 독자층의 큰 지지를 받는 만데라체 상 2015년 수상작이라는 말에 호기심이 더욱 커졌다.

 

뭐라고 말해야 할까? 113편의 이야기들이 실려 있는 이 책을. 어떤 글은 소설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짧고 어떤 글은 소설이라기보다는 저자의 생각이 그려진 에세이 같고. 여하튼 한 마디로 정의하기에는 너무 복잡다단하다.

 

그렇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각각의 픽션들이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한다는 것이다. 두 개의 심장을 가진 사람들의 이야기나 동일한 이름의 남자들이 묻힌 바레아 씨의 일곱 무덤등은 평범한 사람들의 일면을 기묘하게 묘사하는 듯한 느낌이 받기도 한다.

 

닮은꼴은 우리나라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를 떠올리게 하였다. 왕보다 더 왕 같은 남자와 대통령보다 더 대통령다운 닮은꼴의 이야기. 유쾌하다. 제목을 제외하고는 아무 것도 실리지 않은 어느 기억상실증 환자의 기억은 페이지를 보고 1-2초 뒤에야 그 의미를 깨닫고 무릎을 칠 수밖에 없었다. 기가 막히다. 상상력의 끝을 보는 것 같다는 생각과 함께.

 

천천히 읽으라는 표지의 경고문이 결코 그냥 실린 글이 아니었다. 이 책은 천천히 읽을 때 더 깊은, 더 놀라운, 더 기묘한 상상의 세계로 빠져들게 된다. 각각의 글에 용이 있음을 깨달으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