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바스 - 가상다큐 동아시아 2017
강희찬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우리나라를 둘러싼 주변 국가들의 움직임이 예사롭지 않다. 미국과 일본의 밀월관계도, 우리에게 던지는 중국의 우호적인 손짓도, 도대체 어디로 움직일 것인지 예측조차 불가능한 북한의 움직임도. 이런 국제 정세 가운데 우리나라는 어떤 곳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일까? 그 방향은 제대로 된 방향인 걸까? 아니면 사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몸을 맡긴 채 어디로도 가지 못하고 그 자리에서 맴돌고만 있는 것일까?

 

섣불리 답할 수 없는 문제이다. 하지만 외면할 수 있는 문제는 더더욱 아니다. 전통적 우방인 미국, 경제적 이해관계가 얽히고설킨 중국, 가까워지려야 가까워질 수 없는 일본, 한 민족이지만 이제는 그 어떤 민족보다 더 멀리 있는 듯한 북한. 이들과의 관계에 따라 우리나라의 미래가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런 주변국들과의 관계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가 전략적으로 뒤처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이 책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저자는 현재 우리나라가 국제 정세에서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 주변국들은 어떤 속내를 감추고 있는지, 이들 각 국의 전략적 선택은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우리에게 필요한 해결책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각 나라의 전략적 선택에 관한 이야기라고 해서 지레 겁을 먹을 필요는 없다. 저자는 독자들이 쉽게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소설의 형식을 빌려 설명하고 있으며, 명확한 사실 관계를 알아야 할 경우에는 별도로 구별해서 설명하였다. 또한 중간 중간 각 나라의 입장을 대변하는 듯한 글을 실어 각 국의 정황이나 속내를 조금 더 깊이 생각해볼 수 있게 하였다.

 

이 책에서는 독도, 센카쿠 열도, 일본 평화헌법 개정 등을 소재로 가상의 이야기를 이끌어나가는데 국제 정세에 관심이 많은 독자라면 이미 한두 번쯤은 들어보았거나 그럴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는 내용들이 담겨있다. 물론 저자의 예측과는 다르게 생각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저자의 예측에 동의하든지 혹은 그렇지 않든지 간에 저자가 말하는 해결책에는 모두가 공감하지 않을까 싶다. 주변국들과 미묘한 관계로 얽힌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중시해야 할 부분들이 적지 않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정보력과 이에 대한 분별력 혹은 판단력이 무엇보다 중요하지 않을까 싶다. 특히 소설의 마지막 장면에서 미국이 취한 전략을 보면 더욱 그런 느낌을 받는다.

 

2017, 저자가 예측한 미래가 현실로 다가올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그런 미래가 펼쳐질 가능성은 충분하다. 그렇기에 정부적 차원이든지 혹은 국민적 차원이든지 간에 우리는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준비해야 한다. 대한민국이 대한민국으로 설 수 있을 때, 동아시아 정세는 우리를 중심으로 흘러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