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매일 천국의 조각을 줍는다 ㅣ 퓨처클래식 2
바데이 라트너 지음, 황보석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5년 7월
평점 :
‘캄보디아’하면 가장 먼저 <킬링필드>라는 영화가 떠오른다. 아니, 오로지 이 영화만 떠오른다. <킬링필드>라는 영화만 떠오르는 이유는 캄보디아라는 나라는 역사적, 사회적으로 지명도가 높은 나라가 아니기 때문일지 모른다. 아니, 그 영화가 준 장면 하나하나가 너무나 충격적이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아주 어렸을 때 보았기 때문인지는 몰라도 수많은 사람들이 죽은 모습, 그것도 크메르 루주 정권이 자국민을 대상으로 벌인 잔혹한 학살의 희생양이 된 사람들의 주검이 주는 충격은 지금까지도 사라지지 않았다.
그래서 그랬나, 캄보디아의 비극적 역사를 경험한 저자의 자전적 이야기 <나는 매일 천국의 조각을 줍는다>는 제목부터 역사적 상황과 너무나 동떨어졌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지옥보다 더한 고통의 상황임에 분명한데 천국의 조각을 줍는다니. 그런 상황에서 과연 무엇을 천국을 만들어낼 수 있는 천국의 조각이라고 부를 수 있는지, 정말 궁금했다.
왕족의 후예이자 시인인 아버지, 아름다운 어머니, 여동생과 함께 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에서 살던 라미에게 불어 닥친 혁명의 불똥. 왕족이었던 아버지가 처형된 후 어머니, 여동생과 함께 극한의 상황에서 겨우겨우 삶을 이어나가는데 결국 동생은 굶주림과 말라리아로 사망한다. 연이은 왕비 할머니의 죽음, 삼촌의 자살. 이런 상황을 7살 아이는 어떻게 받아들일까? 아니 받아들일 수 있기는 한 걸까?
나는 결코 그렇지 못했을 것 같다. 그러나 라미는 다르다. 그녀에게는 최악의 상황에서도 이를 넘어설 수 있는 힘이 있다. 바로 그녀의 아버지이다. 그녀의 아버지가 그녀에게 들려준 이야기, 그녀의 아버지가 그녀에게 보여준 사랑의 힘. 바로 그 힘으로 라미는 천국을 하나씩 쌓아간다. 문득 <인생은 아름다워>에서 죽음을 향해가던 아버지가 아들에게 보여주었던 그 모습이 떠오른다. 그 아이도, 라미도 그런 사랑이 있었기에 모든 것을 이겨낼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