셜록 홈즈 : 모리어티의 죽음 앤터니 호로비츠 셜록 홈즈
앤터니 호로비츠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6월
평점 :
절판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소설은 책을 보면서 영화를 보는 듯 장면 하나하나가 머릿속에 이미지로 떠오르는 책이다. 글로 된 장면을 이미지로 만들어내면서 작가의 상상력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내가 좋아하는 바로 그런 류의 소설이다.

 

첫 페이지에서부터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하이게이트에서 시신 발견이라는 제목으로 된 기사에서 다룬 살인 사건의 내용이 긴장감과 상상력을 불러일으킨다. 오호, 이 사건이 셜록 홈즈가 나서서 해결할 살인 사건인건가, 라고 생각했는데 웬걸. 라이엔바흐 폭포에서 이루어진 셜록 홈즈와 그의 맞수라는 제임스 모리어티 교수의 대결로 두 사람이 죽었는지 혹은 실종되었는지 모르겠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그렇다면 <셜록 홈즈, 모리어티의 죽음>이라는 제목과는 달리 셜록 홈즈가 이 책의 주인공이 아니란 걸까?

 

그렇다. 이 책의 주인공은 셜록 홈즈가 아니다. 소설 곳곳에서 셜록 홈즈와 왓슨의 이야기가 나오지만 그들이 사건을 풀어헤치는 주인공이 아니다. 그렇지만 셜록 홈즈가 등장하지 않는다고 해서 아서 코난 도일의 셜록 홈즈와 전혀 다른 소설인 것은 아니다. 이 소설 속에는 홈즈와 결코 떼려야 뗄 수 없는 인물들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셜록 홈즈와 애증의 관계라고 해야 할까? 홈즈 때문에 망신을 당했지만 그 때문에 역으로 그를 추종하게 된 애설니 존스 경감. 또한 홈즈에게 왓슨이라는 친구가 있었다면 존스 경감의 옆에는 클래런스 데버루라는 미국 범죄계의 거물을 뒤쫓아 영국으로 온 프레덕릭 체이스가 있다.

 

두 사람은 영국의 범죄계를 장악하려는 클래런스 데버루를 함께 뒤쫓기 시작하고, 그 과정에서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이 책의 또 다른 장점이 이것이 아닌가 싶다. 긴장감이 사라질만하면 다시 새로운 사건이 일어나고, 그 사건을 쫓아가다 다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일단 책을 펼친 사람이라면 결코 한 눈을 팔지 못하도록 끝없이 새로운 이야기들이 이어진다.

 

거기에다 독자의 허를 찌르는 반전. 물론 어느 정도 반전을 기대하고 예측하고 있었지만 내 생각과는 정반대되는 반전이었다. 소설 곳곳에서 이를 알려주는 단서들이 숨어 있었는데 이를 제대로 알아차리지 못했다니, 너무 아쉽다. 아직 이 책을 읽지 않은 분이라면 작가가 숨겨놓은 단서로 마지막 반전을 예상해보는 것도 상당히 재미있을 것이다.

 

아서 코난 도일 재단에서 셜록 홈즈의 작가로 지정된 앤터니 호로비츠. 앞으로 그의 행보가 어떻게 이어질지, 무척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