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한 번의 사랑
김홍신 지음 / 해냄 / 2015년 5월
평점 :
품절


솔직히 이해하기 어려웠다. 죽음을 눈앞에 둔 상태에서야 자신이 진정으로 사랑했던 사람을 찾아 나선 강시울이나, 그렇게 자신에게 다시 다가온 강시울을 위해 목숨까지 받쳐야했던 홍시진이나, 학창시절부터 애틋하게 사랑하다 드디어 그 사랑의 결실을 맺는 순간 강시울 때문에 결국 그 사랑을 이루지 못한 김다정이나, 모두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들의 사랑이 진짜 사랑인지도 모르겠다.

 

나는 이들과 같은 사랑은 할 수 없을 것 같다. 특히 홍시진과 같은 사랑은 하지 못할 것이다. <단 한 번의 사랑>이라는 제목대로라면 홍시진에게도 오로지 하나의 사랑만이 있었다는 얘기이고, 결국 그 사랑은 강시울을 향한 사랑일 것이다. 그렇다면 그와 다정과의 관계는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그저 자신을 사랑한 사람에 대한 예의나 연민으로 그녀와의 결혼을 약속했던 것일까?

 

이렇게 생각해보자. 만약 홍시진과 김다정이 결혼을 했다면, 그때도 홍시진은 자신을 다시 찾아온 강시울을 받아들였을까? 홍시진과 김다정에게 아이가 있었다면, 그때는 또 어땠을까? 글쎄다. 홍시진은 자신의 길을, 자신의 사랑을 찾아갔지만 나라면 결코 그렇게 하지 못했을 것이다. 아니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다.

 

물론 강시울의 입장이나 홍시진의 마음이 이해가 안 되는 것은 아니다. 충분히 이해가 된다. 자신의 의사에 반해 어쩔 수 없이 결혼으로 이어진 그 과정은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몸서리쳐지고, 그 속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시도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두려움에 빠졌을 수도 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의 희생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사랑이라면 그것을 사랑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이야기의 전개가 시진과 시울을 중심으로 움직이다 보니 다정의 마음을 제대로 그려내지 못한 것 같다. 게다가 시진과 시울이 사찰을 떠난 후 만 배를 시작한 다정의 모습을 그린 후 다정의 이야기는 소설에서 완전히 빠져버렸다 마지막 에필로그에서 영혼결혼식을 주장하는 모습으로 다시 나타나는데 그녀의 변화된 심경이 한편으로는 이해가 되지만 한편으로는 너무 억지스럽다는 생각도 들었다.

 

사람마다 사랑하는 방법이 다를 것이다. 누군가는 강시울이나 홍시진과 같은 사랑을 할 것이다. 그들이 했던 그 단 한 번의 사랑, 나에게는 너무 머나먼 이야기이지만 누군가에게는 그 사랑이 생명보다 귀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런 사랑이라면, 그 누가 그 사랑에 대해 뭐라고 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