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녀들의 초상화가 들려주는 욕망의 세계사
기무라 다이지 지음, 황미숙 옮김 / 올댓북스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미술에 대해 잘 알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유명하다는 작품들은 자주 보려고 하는 편이다. 하지만 미술 작품 중에서 초상화는 왠지 모르게 작품이라는 느낌이 들지 않아 거의 감상해본 적이 없다. 일단 초상화라고 하면 권력을 가진 자들이 자신의 모습을 남긴 것이라는 인상이 강해 거부감이 먼저 드는 것도 초상화를 제대로 보지 않은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옛날 사람들이 초상화를 남긴 이유는 저자의 말처럼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욕망 때문일 것이다. 자신이 가진 부나 권력 혹은 육체적 아름다움을 남기고자 하는 것은 인간의 본능이다. 그렇지만 저자의 말처럼 초상화에는 단순히 이들의 개인적인 욕망만이 담겨 있는 것은 아니다. 그 속에는 그 시대의 생각과 흐름과 동시대를 산 사람들의 사랑과 욕망도 함께 담겨 있다.

 

그렇기에 사진과 초상화는 다른 것 같다. 사진은 단순이 사람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옮겨 담지만 초상화는 그 사람의 성격과 삶도 함께 담기 때문이다. 또한 때로는 초상화에 함께 그린 소품들을 통해서 그 시대를 나타내는 생각이나 초상화 속 인물의 삶을 엿볼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초상화 중에서도 15세기 이후에 그려진 미녀들의 초상화를 통해 각 시대의 역사적 사건들과 초상화 속 인물의 삶을 들여다본다. 15명의 미녀들이 들려주는 이야기가 새로운 역사적 사실인 것은 아니다. 하지만 역사라는 어찌 보면 지루하거나 난해할 수 있는 학문이 사랑과 권력의 얽히고설킨 이야기를 담은 초상화로 모양새가 바뀌면서 학문적인 느낌보다는 잘 만들어진 미드를 듣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또한 이야기의 주 대상은 초상화 속 인물이지만 중간 중간 그림을 그린 화가들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초상화를 그린 화가들의 삶과 그들이 초상화를 그리는 화풍 등에 대해서도 조금은 알게 되었다.

 

이 책은 초상화라는 매개물을 통해 권력을 향한 욕망의 세계사를 조금은 쉽고 재미있게 풀어내고 있다. 다만 초상화 속 미녀들의 이야기라기보다는 그녀들 주변의 이야기들이어서 초상화 속 미녀들 각각의 삶을 조금 더 깊이 풀어냈다면 더 흥미로웠지 않을까라는 아쉬움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