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피, 혁명 - 경제와 과학의 특별한 지적 융합
조지 쿠퍼 지음, PLS번역 옮김, 송경모 감수 / 유아이북스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 혁명>. 책 제목만 보면 쿠데타나 민주화 운동과 같은 이미지가 떠오른다. 하지만 이 책은 이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 이 책은 경제에 관한 이야기이다. 경제에 관한 이야기에 돈이라면 모를까 피나 혁명이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것에 의문이 들 것이다. 도대체 이들은 경제와 무슨 역학 관계가 있는 것일까?

 

이 책은 과학에서 있었던 혁명이 경제학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는 저자의 의도가 담긴 책이다. 저자는 오늘날의 경제학이 제시하는 어떠한 이론도 실제적으로 유용한 답이 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지적한다. 현실을 돌아보면 저자의 말에 공감하지 않을 수 없다. 정부가 긴축재정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고, 반대로 경기부양책을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어느 것도 완벽한 답이 되지는 못한다.

 

이런 현실에서 저자는 토마스 쿤의 이론을 바탕으로 과학에서 일어났던 4가지 혁명(코페르니쿠스, 윌리엄 하비, 다윈, 베게너)을 적지 않은 분량을 할애하여 설명한다. 이런 과학적 설명은 저자의 이력을 살펴보면 어느 정도 수긍하게 된다. 저자는 대학 시절 경제학이 아니라 물리학을 공부하였다. 이후 골드만 삭스, 도이치 은행 등에서 근무하며 자금운용과 투자전략 부문을 담당했다. 이런 학문적 바탕과 실제적 경험이 어우러지면서 저자는 새로운 시각을 우리에게 제시하게 된 것은 아닐까 싶다.

 

저자의 이론은 토마스 쿤의 패러다임 혹은 패러다임의 전환을 토대로 이루어진다. 토마스 쿤은 절대불변의 패러다임은 없다고 말한다. 토마스 쿤이 말한 패러다임은 과학계에서 먼저 이루어진 것이지만 저자는 이를 경제학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주장하면서 경제성장 순환 모델을 제시한다. 민간 부문의 경제활동을 통해 부가 사회 피라미드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고 공공 부문의 활동을 통해 상부로 이동한 부가 다시 아래로 내려온다. 이런 구조를 통해 민간 부문과 공공 부문은 서로 상호보완적인 구조를 이룬다.

 

저자가 제시하는 모델이 완벽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과학의 발전 혹은 발견이 이루어졌듯이 이런 경제 모델이 또 다른 발전을 향한 첫 걸음이 될 수 있음은 부정할 수 없다. 경제 정책 입안자나 기업가들이 이 책을 읽고 새로운 통찰력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