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사랑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 사랑을 지키기 위해 알아야 할 관계 심리학
수잔 존슨 지음, 박성덕 외 옮김 / 지식너머 / 2015년 3월
평점 :
품절
결혼을 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아내에게 결혼을 결심한 이유가 무엇인지 물어본 적이 있다. 은근히 내가 멋지고, 능력도 있고, 유머 감각도 뛰어나고, 한 마디로 세상에서 제일 잘난 사람이라서, 라는 대답을 듣기를 원했는데, 아내의 대답은 이런 내 바람과는 전혀 달랐다. 아내는 내가 사랑을 많이 받고 자란 사람이라고 생각해서 결혼을 결심했다고 한다. 어리둥절해하는 내게 아내는 사랑을 많이 받고 자란 사람이기에 자기나 아이에게 사랑을 많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단다. 그게 아내의 결혼 이유이다.
이는 저자 수잔 존슨 박사가 존 보울비의 애착 이론을 중심으로 말하는 사랑의 본질과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존 보울비의 애착 이론에 따르면 부모와 자식의 애착 관계는 안전형, 불안형, 회피형으로 나뉘는데, 저자는 이런 애착 관계가 성인이 되어서도 이어진다고 한다. 내 경우를 돌아보면서 저자의 이야기에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할 수밖에 없었다. 자식을 사랑하지 않는 부모는 없겠지만 삼형제를 향한 지극한 사랑을 보이신 아버지와 어머니, 그런 모습을 이어받아서 그런지 나 역시 딸아이를 너무나 사랑한다. 그런 모습이 보이는 걸까? 딸아이를 본 주변 사람들도 딸아이가 사랑을 많이 받고 자란 모습이 보인다고 한다.
사랑은 누군가와 정서를 나누는 관계를 형성하면서 더욱 깊어진다. 이는 우리의 본성이다. 타인과 유대 관계를 맺고, 자신의 정서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사랑이 지속가능해진다. 저자의 말대로 사랑은 분명 적극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통제될 수 있으며 어떻게 하는 것인지 배울 수 있는 일이다.
사랑은 한 순간에 지나가는 바람이 아니다. 누군가 말한 것처럼 확 타올랐다가 사라지는 불꽃이 아니다. 사랑은 우리의 생존을 위해, 우리의 관게를 위해 지속되어야 할 인간의 본능이다. 생존을 위한 것이라면 일시적인 것만으로는 당연히 부족하다. 살아 숨 쉬는 매 순간 필요하다.
Love Sense라는 원제처럼 사랑을 이해하는 계기가 된 책이다. 그 사랑이 삶이 끝나는 그 순간까지 함께 하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