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를 잡아먹은 오리 - 2015년 제1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김근우 지음 / 나무옆의자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판타지 소설을 잘 읽지 않는 편이기에 <바람의 마도사>라는 유명한 판타지 작품을 들어본 적은 있지만 읽어보지는 않았다. 그랬기에 김근우라는 작가의 이름도 처음에는 낯설었다. 작가 소개를 읽다 그가 <바람의 마도사>를 쓴 작가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랬기에 그가 쓴 소설이 세계문학상 대상작품이라니 뭔가 다른 느낌의 소설이지 않을까라는 막연한 기대감이 있었다. 이런 기대감을 가지게 된 데에는 소설의 제목도 한몫했다. <고양이를 잡아먹은 오리>라니, 너무 황당하지 않은가, 오리가 고양이를 잡아먹었다니.

 

그래도 설마 했다. 정말 고양이를 잡아먹은 오리에 대한 이야기는 아닐 거라고. 뭔가 심오한 의미를 가진 상징적인 표현일 거라고. 그런데 진짜 고양이를 잡아먹은 오리에 대한 이야기이다. 물론 그 오리가 주인공은 아니지만.

 

소설의 줄거리는 복잡하지 않다. 전 재산이 4,2645원 밖에 안 되는 삼류 작가, 증권회사 구조조정으로 실직한 후 주식을 하다 인생을 망치고 바닥까지 추락한 여자, 번뜩이는 재치와 당돌함을 무기로 사용하며 무엇보다 돈이 좋다고 외치는 노인의 손자인 꼬마. 이들 세 사람은 자신이 키우던 고양이를 잡아먹은 오리를 찾으려는 노인에게 일당 5만원을 받고 불광천을 돌아다니며 폴라로이드 카메라로 찍은 오리 사진을 노인에게 가져다주는 일을 한다. 서로 아무런 관계가 없었던 이들은 고양이를 잡아먹은 오리를 찾으러 다니면서 서서히 나와 너가 아닌 우리의 관계를 만들어가기 시작한다.

 

소설을 읽는 내내 고양이를 잡아먹은 오리로 작가가 표현하고자 한 것이 무엇인지 궁금했다. 누군가는 가짜와 진짜의 문제를, 누군가는 가능성과 불가능성을 표현한다고 말한다. 나는 좀 더 다른 생각으로 고양이를 잡아먹은 오리를 바라보았다. 고양이를 잡아먹은 오리는 바로 이루어질 수 없는 하지만 이루어질 수 있는 희망을 상징하는 것은 아닐까 라고.

 

고양이를 잡아먹은 오리는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이를 찾으려는 노인에게는 불가능한 거짓이 아니었다. 그에게는 이는 반드시 이루어야 할, 충분히 그럴 수 있는 일이었다. 오리를 잡는 일이 그에게는 삶을 이어주는 하나의 원동력이었다. 하나의 희망이었다. 남자와 여자, 꼬마는 이를 알았기에 가짜를 만들어내는 일이 그렇게도 싫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우리도 그렇지 않나. 남들은 비현실적이라며 비웃을지도 모르는 꿈과 희망을 가진 채, 그 꿈과 희망을 이루기 위해 매 순간 온 힘을 다해 고양이를 잡아먹은 오리를 잡으러 다니는 것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