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사랑을 그리다
유광수 지음 / 한언출판사 / 201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하면 따뜻하고 기분 좋은 느낌이 든다. 하지만 사랑이라고 늘 좋기만 한 것은 아니다. 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뒤틀린 사랑의 모습들을 적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짝사랑이 도를 넘으면서 스토커로 변한다든가, 이루어지지 않는 사랑에 가슴 아파하며 함께 생을 마감한다든가, 이제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지만 가정이 있는 사람들끼리 사랑에 빠지는 불륜의 아픔 등 다양한 형태의 사랑이 존재한다.

 

이런 사랑은 우리 현대인들만의 전유물은 아니다. 사람이 살아온 그 모든 시간에 사랑은 존재했다. 그런 사랑의 모습들이 고전에서는 어떻게 그려지고 있을까? 혼자만의 짝사랑은, 광기에 파묻혀 집착에 빠져버린 사랑은, 결코 사랑이라고 말할 수 없는 강간을 우리 선조들은 어떻게 생각했을까?

 

저자는 고전에 담긴 이야기들 속에서 사랑 이야기를 끌어낸다. 그런데 저자가 고전을 바라보는 시선이 남다르다.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에서 저자는 그저 행복하기만 한 결말 혹은 나무꾼 혼자되는 쓸쓸한 결말만 보지 않는다. 그 속에서 선녀의 이야기를 이끌어낸다. 옷을 빼앗겨 두메산골에 남게 된 선녀의 입장에서는 결국 나무꾼의 행동은 납치극에 지나지 않는다. 저자는 또 이렇게 질문을 던진다. 과연 나무꾼에게 선녀를 진정으로 사랑하는 마음이 있었는가? 그렇지 않다면 이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

 

이처럼 저자는 책 곳곳에서 사랑의 이야기를 또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도록 독자에게 다양한 화두를 던진다. 저자의 모든 생각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선녀와 나무꾼>의 이야기처럼 공감이 되는 주장들이 적지 않았다. 짝사랑에 관한 이야기를 읽다 대학 때 친구가 말했던 내용이 문득 떠올랐다. 그 친구는 다른 과 여학생을 짝사랑했는데 그 사람에게 고백하지 못하는 이유를 자신의 환상이 깨질까봐 두려워서라고 말했다. 친구의 생각을 곰곰이 곱씹어보면 과연 이런 짝사랑이 사랑일까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 짝사랑은 결국 극단적인 자기애의 모습인 것은 아닐까?

 

지금도 수많은 사람들이 사랑에 빠져 있을 것이다. 나도 그렇다. 우리가 사랑에 빠질 수밖에 없는 이유는 사랑만큼 우리를 아름답게 만드는 것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고전에 담긴 사랑 이야기에서 우리 모우가 삶을 더욱 아름답고 행복하게 만들어줄 사랑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