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록 - 유성룡이 보고 겪은 참혹한 임진왜란
김기택 옮김, 임홍빈 해설, 이부록 그림, 유성룡 원작 / 알마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송복 교수님의 <류성룡, 나라를 다시 만들 때가 되었나이다>라는 책을 읽은 이후로 서애 류성룡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어났다. 특히 그가 쓴 <징비록>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지 너무 궁금했다.

 

임진왜란 당시 서애 유성룡은 영의정이자 도체찰사라는 직책을 맡고 있었다. 그는 이순신 장군, 권율 장군처럼 전쟁터에서 몸을 바쳐 싸우지는 않았지만 전쟁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물자 공급, 명나라와의 외교 전략 등 드러나지 않은 곳에서 수많은 기여를 한다. 임진왜란의 숨겨진 영웅인 유성룡은 7년 동안 백성을 지옥으로 몰아넣은 전쟁이 끝난 후 이런 치욕의 역사가 다시는 반복되지 않기를 바라며 징비록을 기록한다. 유성룡은 징비록을 쓴 이유를 시경의 말을 인용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시경에 지난 일의 잘못을 주의하여 뒷날에 어려움이 없도록 조심한다라고 했는데, 이것이 <징비록>을 쓴 이유다. (p.13)

 

징비록을 읽으면 누구나 느낄 수밖에 없는 감정이 있다. 분노다. 백성을 버리고 전쟁터에서 그 누구보다 먼저 도망치는 관리와 장수들. 나라의 존위와 백성의 안전보다 왕이라는 자신의 직책을 더 중히 여기는 듯한 선조. 애초에 당리당략에 따라 현실과는 다른 보고를 올리는 김성일의 근시안적인 태도.

    

이들의 무책임에 정작 고통을 겪는 이들은 힘없는 백성들이었다. 이는 임진왜란 때만의 일이 아니다. 그 후의 병자호란, 일제 강점기 등으로 이어져 나라의 근간인 백성들이 뿌리 채 흔들리는 국난으로 이어진다.

    

그렇게 훗날을 대비하라며 징비록을 쓴 유성룡의 마음은 어디로 사라진 걸까? 그의 뒤를 이은 사람들은 그렇게 쉽게 임진왜란의 고통을, 수치를, 분노를 잊어버린 걸까?

    

유성룡의 피맺힌 절규는 지금도 이어진다. 그렇지만 지금 이 땅에 그의 절규를 제대로 듣고 준비하는 위정자들이 과연 몇 명이나 있을까? 문득 그것이 궁금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