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이 되고 싶었던 아이 - 테오의 13일
로렌차 젠틸레 지음, 천지은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람의 특징은 무엇일까?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느낄 수 있다는 것.

 

테오는 왜 그런 바람이 되고 싶었을까? 바람처럼 되어야만 나폴레옹을 만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죽은 나폴레옹을 왜 만나고 싶어 했을까? <나폴레옹의 모험>이라는 책에서 말하길, 모든 전투에서 승리한 사람이 바로 나폴레옹이었기 때문에.

 

모든 전투에서 이긴 나폴레옹의 전략이 필요한 이유는?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첫 번째 전투에서 이기기 위해서

 

테오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테오의 부모님을 구하는 것!!!!

 

그렇다. 여덟 살 테오는 부모님을 구하기 위해 이미 세상을 떠난 나폴레옹을 만나고 싶어 했다. , 부모님이 어떤 상태이기에 그들을 구한다는 것일까? 테오의 부모님들은 서로 간의 전투에 빠져 행복과는 거리가 먼 듯한 가정이 되어가고 있었기 때문이다.

 

테오는 많은 것을 바라지 않는다. 아주 조금이라도 지금보다 행복한 가족, 그것이 테오가 세상에서 제일 바라는 것이다. 테오의 바람이 잘못된 것일까? 물론, 아니다. 당연히 모든 사람들이 가족의 행복을 최우선적으로 바란다. 하지만 살아가면서 가족 간에 행복보다는 미움과 다툼이 넘치는 경우가 더 많아지기도 한다. 바로 테오의 부모님들처럼 말이다.

 

이들은 아이들 앞에서 큰 소리로 싸우고, 식탁을 내리치고, 때로는 욕을 하기도 한다. 나는 결코 그렇지 않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까? 부끄럽지만 그러지 못한 경우가 종종 있었다. 아이가 있는 앞에서 나도 모르게 큰 소리로 화를 내기도 하고, 때로는 화가 나서 문을 박차고 나가기도 한다. 하지만 부모들의 이런 행동이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생각한다면 과연 그렇게 행동할 수 있을까?

 

마틸테가 테오에게 던진 한 마디.

 

넌 언제나 상황을 더 나쁘게 만드는 애야.”(p.97)

 

심리학적으로 많은 아이들이 부모가 싸우면 그것이 자신의 탓이라고 생각한단다. 아이들은 오히려 부모님들과 가족의 행복을 위해 테오처럼 바람이 되고 싶어 하는 데 말이다.

테오의 천진한 모습과 부모를 향한 마음에 너무나 따뜻한 느낌을 받을 수 있어서 좋았고, 그래서 또 한편으로는 너무나 부끄러웠다. 그렇기에 이제 가족의 행복을 위해 바람이 되고 싶었던 테오처럼 나도 바람이 되고 싶다. 우리 모두를 따뜻하고 행복하게 해 줄 바람이 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