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회적 뇌 인류 성공의 비밀
매튜 D. 리버먼 지음, 최호영 옮김 / 시공사 / 2015년 1월
평점 :
한 때 나는 독신주의자였다. 결혼은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다가 하나 둘 씩 친구들이 결혼을 하고 만나는 사람들이 점점 줄어들면서 왠지 모를 공허함에 빠져들었다. 그때 친구의 소개로 만난 사람이 지금의 아내이다. 그 이후로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그러면서 이런 게 행복이구나 생각하게 되었다.
책에 보니 결혼은 사람들에게 연간 10만 달러 이상의 추가 소득을 버는 행복감을 가져다준다고 한다. 매일 만나는 친구가 있는 사람도 이와 비슷한 정도의 행복감을 느낀다고 한다. 돈을 많이 번다고 더 행복해지지는 않는다. 부부 관계, 친구 관계, 이웃 관계 등을 어떻게 가지냐에 따라 행복의 수치가 달라진다. 이는 인간이 기본적으로 사회적 관계를 추구하기 때문이다. 이런 사회적 관계를 추구하는 힘이 인간의 행동을 좌우하는 가장 기본적인 힘들 중 하나이다.
저자의 생각에 공감되는 부분이 적지 않았다.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알기 위해 우리는 끝없이 공부한다. 심리학에서 말하는 ‘마음이론’과 다름 사람의 마음을 헤아리는 능력을 사용하는 ‘심리화 작용’을 생각해봐도 그렇다. 무슨 일을 하든지, 협력 관계이든지, 혹은 경쟁 관계이든지 간에 상대방의 마음을 알기 위해 노력하는 존재가 바로 인간이다. 이를 통해 타인과의 관계를 조정하는 삶을 살게 된다.
회사에서도 마찬가지다. 동료나 거래처 사람들과 어떤 관계를 맺는지에 따라 업무의 결과도 완전히 달라진다. 직장 생활 자체가 달라지기도 한다. 이는 좋은 관계로 이루어진 사내 분위가 기대 이상의 실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처럼 개인적인 차원에서도, 회사 차원에서도 중요한 문제이다. 업무의 결과와 바로 직결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인류가 앞으로 얼마나 발전할지 모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그렇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모두 행복한 삶을 살기를 바란다. 이런 행복한 삶은 다른 데서 찾을 필요가 없다. 친구와 나누는 커피 한 잔, 식탁에서 이루어지는 가족 간의 대화, 이웃들과 나누는 정이 바로 우리의 삶을 더욱 행복하게 만들어준다. 우리는 사회적 관계를 본능적으로 추구하는 사회적 뇌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