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학
시라토리 하루히코 지음, 송태욱 옮김 / 이룸북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한 때 학생들을 가르치는 영어강사로 일했던 적이 있었는데, 그 당시 아이들에게 늘 하던 말이 있었다. “공부는 누가 가르쳐 주는 게 아니라 스스로 하는 거다.” 아무리 가르쳐도 스스로 하지 않는 아이들에게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후 많은 사람들이 나와 비슷한 생각을 해서일까? 요즘 학원에서는 자기주도학습이라는 방식으로 아이들을 이끌어간다고 한다.

 

저자는 아이들과 어른들의 차이를 두어 설명하지만 사실 요즘 아이들 중에는 학습을 넘어서 독학의 단계로 들어선 아이들도 있다. 말 그대로 단순히 모방의 차원 혹은 시험을 위한 공부가 아니라 깊은 사색과 고민이 동반된 독학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는 저자의 말처럼 호기심을 가지고 사물을 바라보는 아이들이 많아졌고 그 속에서 자신의 길을 찾는 아이들도 많아졌기 때문이다.

 

호기심에서 스스로 찾아보고 깊이 있게 공부한 내용들은 머릿속에서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반면에 시험을 위해 억지로 외운 내용들이 시험이 끝나자마자 머릿속에서 사라지는 놀라운(?) 현상이 벌어지기도 한다. 그렇기에 독학을 위한 기본자세는 모든 사물, 현상, 사람에 대한 호기심이다. 어린 아이들처럼 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살아야 한다.

 

저자는 어려운 서적이라고 미리부터 포기하지 말라고 한다. 나를 포함해서 많은 이들이 저자의 말처럼 책이 조금만 어려워도 쉽게 포기하는 성향이 있다. 하지만 저자의 말처럼 완독해야 한다는 부담을 떨치고, 부분 부분을 읽어 나간다면 심적인 부담은 확실히 줄어들 것이다. 그러다보면 어느새 책 전체를 모두 읽고 이해하는 과정을 밟게 되지 않을까?

 

내 생각에 독학에 필요한 또 하나는 슬로 리딩이 아닐까 싶다. 책을 읽다보면 읽는 것 자체에 빠져드는 경우가 많다. 혹은 그저 줄거리만 빠르게 쫓아가는 경우도 흔히 발생한다. 그러다보면 정작 저자가 말하는 바를 놓치게 되거나 글의 내용을 상상하면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내지 못한다. 때로는 천천히 읽어가며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것, 그 또한 독학의 길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