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히 사랑해
다니엘 글라타우어 지음, 유혜자 옮김 / 밝은세상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사랑과 집착의 경계는 어디쯤일까? 사실 이를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어느 정도는 사랑이라는 이유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혹은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하다 보니 분명 도를 벗어난 행동임에도 선뜻 뭐라고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상대방이 모든 사람들에게 호감을 받는 사람이라면 더욱 그럴 것이다.


30대의 중반의 유디트는 어느 날 슈퍼마켓에서 건축설계사인 한네스와 만나 사랑에 빠진다. 한네스는 유디트를 향한 자신의 사랑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유디트의 친구들이나 가족들과도 잘 어울리면서 그들에게도 정성을 다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유디트는 과도한 한네스의 행동에 무언가 잘못 흘러가고 있다는 생각한다. 그러다 베니스 여행을 다녀온 후 한네스와 헤어져야겠다는 결심을 하고 그에게 자신의 감정을 전달한다. 유디트가 한네스에게 이별을 통보한 후 그녀에게 장미꽃 꽃다발이 배달되고 유디트는 자신을 집요하게 쫓아다니며 괴롭히는 한네스 때문에 점차 정신적으로 피폐해져 가는데....


한네스는 무섭다. 진짜 이런 사람 만날까봐 너무 무섭다. 예전에 본 영화 미저리가 생각날 정도의 행동을, 그것도 교묘하게 지능적으로 하는 한네스에게 두려움마저 느껴진다. 유디트의 주변 인물들을 포섭해 조금씩 조금씩 유디트를 옭아매가는 그의 방법은 알면서도 당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더욱 무섭게 느껴진다.

어떤 의미에선 유디트가 너무 안일하게 대처한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도 들었다. 이미 그녀는 헤어지기로 결심하면서 그 과정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하면서도 별다른 조처를 취하지 않는다. 친구들과 깊이 있게 얘기하지도 않는다. 만약에 그녀가 처음부터 조금 더 신속하게 대처했더라면 정신병원을 들락거릴 정도로까지 힘들어하지는 않았을지도 모른다. 한네스와 같은 이들에게는 단호한 대처가 필요하다.

사랑은 누군가를 구속하는 것이 아니다. 누군가를 내 소유로 만드는 과정이 아니다. 그렇기에 한네스의 감정은 사랑이 아니라 집착, 그것도 병적인 집착일 수밖에 없다. 현실에서는 결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많은 사람들이 유디트와 같이 행동할 것이다. 그저 원만하게, 뒤끝 없이 헤어지고 싶어 하는..

한 때 사랑했던 그 사람이 그렇게 돌변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들은 없지 않을까???

유디트는 본능적으로 한네스의 진면목을 느낀 것 같기는 하지만...

 


한네스가 무서운 점이 바로 이것이다.

한 때는 유디트 편이었던 루카스마저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이는...

이런 사람에게서 쉽게 벗어나기는 어려울지도 모르겠다.

정말 단호하게 대처하지 않는 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